샤마니즘 토양에의 기독교 상황화 방안(方案)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5 00:39
본문
Download : 샤마니즘 토양에의 기독교 상황화 방안 연구.hwp
레포트/자연과학






한국교회안에서 보여지는 샤마니즘의 문제점들을 살펴보면서 복음의 순수성을 지키고 복음의 진리가 왜곡되지 않도록하여 샤마니즘의 토양속에서 기독교를 상황화시키는데 야기되는 샤마니즘적인 요소들을 지적해보면서, 샤마니즘적인 상황속에서의 기독교적인 바람직한 방향에 대하여 제안해 보려고 한다.
따라서 샤마니즘의 제의를 담당하는 샤만(Shaman)이 무엇이냐 하는 것은, 그가 지니고 있는 ‘엑스타시 기술’ 또는 엑스타시의 현상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달려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의 풍토에서 기독교가 기독교 되게하는 데에 있다. 왜냐하면 그것은 언어학, 고고학, 인류학, 신학 등의 종합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일것이다
유 동식은 샤마니즘을 하나의 定義(정의)나 개념(槪念)속에 포섭하기에는 너무나 방대한, culture사적으로 본다면 선사시대로부터 처음 하여 수렵(수렵), 목축, 농경등 각종 culture층을 거쳐서 현대에까지 존속하고 있는 종교현상이라고 하였고, M.Eliade는 샤마니즘 자체를 定義(정의)하여 단순히 “엑스타시의 고대적 기술”(archaic technique of ecstasy)이라고 했다.
샤마니즘이 기독교가 바로 전해지지 못하게 한국인의 심성과 한국의 상황에 뿌리깊게 내려 있고, 샤마니즘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은 상황이라서 많은 도전은 주었지만 본 논문도 샤마니즘의 극히 일부분인 종교적인 면만을 그것도 기독교적인 관점에서만 보았다는데에 한계성이 있음을 밝힌다. , 샤마니즘 토양에의 기독교 상황화 방안 연구자연과학레포트 ,
한국교회안에서 보여지는 샤마니즘의 결점들을 살펴보면서 복음의 순수성을 지키고 복음의 진리가 왜곡되지 않도록하여 샤마니즘의 토양속에서 기독교를 상황화시키는데 야기되는 샤마니즘적인 요소들을 지적해보면서, 샤마니즘적인 상황속에서의 기독교적인 바람직한 방향에 대하여 제안해 보려고 한다.
샤마니즘이란 시베리아를 중심으로 널리 몽고, 만주, 한국, 日本(일본) 그리고,우랄알타이 제종족 사이에 살고있는 각 민족의 주술종교적인 원시종교를지칭하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 지 병구는 샤마니즘이란 원래 체계적인 교리나 조직을 갖추지 못한 애니미즘(Animism)을 기초로 하고 있으며, 이 …(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샤마니즘 토양에의 기독교 상황화 방안 연구.hwp( 42 )
,자연과학,레포트
샤마니즘 토양에의 기독교 상황화 방안(方案) 연구
설명
순서
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의 풍토에서 기독교가 기독교 되게하는 데에 있다아 다시말하면, 기독교가 세속적인 것들에 물들지 아니하고 순수한 복음 그대로 전해져서 하나님 나라가 더욱 확장되기를 바라는데 있다아
서 론
1. 연구의 의의와 목적
2. 연구의 방법과 제한점
제 1 장 한국인의 전통 종교로서의 샤마니즘 이해
1. 샤마니즘의 定義(정의)
2. 샤마니즘(Shamanism)의 신관
3. 샤마니즘의 제사와 제의
1) 샤마니즘의 제사
2) 샤마니즘의 제의
4. 샤만(shaman)의 유형과 기능
1) 샤만의 유형
2) 샤만의 기능
5. 한국 샤마니즘(shamanism)의 characteristic(특성)
제2장 기독교적 관점에서 본 샤마니즘의 문제가되는점 비판
1. 샤마니즘의 사상체계에 대한 비판
1) 샤마니즘의 신관과 문제가되는점 비판
2) 샤마니즘의 인간관과 문제가되는점 비판
3) 샤마니즘의 종말관과 문제가되는점 비판
4) 샤마니즘의 축복관과 그에 대한 문제가되는점 비판
2. 샤마니즘의 외형적 측면 비판
1) 카타르시스(catharsis)적 예배 의식
2) 물량주의적 가치 기준
3. 샤마니즘의 내면적 측면 비판
1) 이기주의적 기복신앙
2) 체험주의적 신앙
3) 운명론적 의타주의적 신앙
4) 비륜리적 신앙
제3장 한국교회가 해결하지 못한 교회안에 남아있는 샤마니즘적 요소들
1. 한국교회의 외형적 모습에 나타나는 요소들
1) 혼합주의(Syncretism)
2) 의타주의
3) 형식주의(Formalism)
4) 운명주의
5) 권위주의적 목회자
6) 샤만적 부흥사(목사)
2. 한국교회의 내면적 모습에 나타나는 요소들
1) 개인주의적인 신앙생활
2) 물량주의적인 신앙생활
3) 배금주의적인 신앙생활
4) 비륜리적 신앙생활
3. 한국교회의 예배에 미친 샤마니즘적인 요소들
1) ‘굿’화한 예배
2) 관람적 예배
3) 주정주의적인 예배
4) 개인주의적인 예배
4. 한국교회의 예배의식에 미친 샤마니즘적 요소들
1) 기복주의적인 설교
2) 기복주의적인 기도
3) 기복적인 헌금
4) 치유
5) 축사
제4장 샤마니즘적 상황속에서의 기독교적인 갱신에 대한 제안
1. 한국교회의 내면적 모습에 나타난 샤마니즘적 요소의 갱신
1) 개인주의적인 신앙생활의 갱신
2) 물량주의적인 신앙생활의 갱신
3) 배금주의적인 신앙생활의 갱신
4) 비륜리적 신앙생활의 갱신
2. 한국교회의 예배에 미친 샤마니즘적 요소의 갱신
1) 기복신앙의 갱신
2) 관람적 예배의 갱신
3) 주정주의적인 예배의 갱신
4) 개인주의적인 예배의 갱신
3. 한국교회의 예배의식에 나타난 샤마니즘적 요소의 갱신
1) 바람직한 설교
2) 올바른 기도
3) 헌금
4) 치유
결 론
본 논문은 성경적인 관점에서 샤마니즘을 이해하였으며 한국인의 기저에 자리잡고 있는 전통종교(민속적종교)로서의 샤마니즘을 제1장에서 고찰해 보고, 기독교적인 관점에서 샤마니즘의 문제가되는점 을 제2장에서 살펴보며, 제3장에서는 아직 한국교회가 해결하지 못하고 한국교회안에 남아 있는 샤마니즘적인 요소들을 살펴보면서, 샤마니즘적인 상황속에서 기독교를 상황화 시키는 갱신에 대한 제안을 제4장에서 기술하고, 내용들을 종합함으로써 논문을 전진시키려고 한다.
제 1 장 한국인의 전통 종교로서의 샤마니즘 이해
1. 샤마니즘의 定義(정의)
샤마니즘의 定義(정의)를 간결하게 한 마디로 定義(정의)내리기는 어렵다. 다시말하면, 기독교가 세속적인 것들에 물들지 아니하고 순수한 복음 그대로 전해져서 하나님 나라가 더욱 확장되기를 바라는데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