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행정의 결과 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1 03:42
본문
Download : 사회복지행정의 효과성.hwp
program 결과로서 측정(measurement)된 성…(생략(省略))
다.
레포트/법학행정
Download : 사회복지행정의 효과성.hwp( 56 )
순서
,법학행정,레포트





사회복지행정의 결과 성
사회복지행정의효과성 , 사회복지행정의 효과성법학행정레포트 ,
설명
사회복지행정의결과 성
1. 효율성의 definition 과 서비스의 질
2. 효율성 평가의 theory 적 모형
3. 개입 효율와 평가 디자인
2. 효율성 평가의 theory 적 모형
1) program 變化 모델
(1) 개입theory : 특정한 Cause 즉, 개입을 시도하면 특정한 결과가 도출될 것이라는 논리적인 說明(설명) . 성과 기준치에 도달하기 위해 운영변수와 개입, 교량변수를 거치는 실행결과로서 성과 측정(measurement)치가 나오는 것.
(2) 평가 : 개입theory 이 적절한 것인지를 성과 기준치와 성과 측정(measurement)치 간의 비교를 통해 판단. 최종적으로 program이 애초에 설정했던 성과 기준치와 program 실행 후에 측정(measurement)된 성과 측정(measurement)치를 비교.
(3) 개입변수
① 운영변수
- 조직체로서의 program을 서비스 개입을 구성하는 활동들과 과정에 연결시키는 인과적인 과정들을 규정하는 것
- program을 운영하는 데 따르는 다양한 방식들의 조합.
② 교량변수
- program을 통해 실시된 특정한 개입과 program 성과 사이에 위치하며, 개입 활동과 성과를 이어주는 교량역할을 하는 변수. program theory 을 대변.
- program의 운영 방식이 결정되어 구체적인 개입이 이루어질 때, 의도된 變化가 발생하는 곳.
2) program 오류와 평가
(1) theory 적 오류 : 수많은 교량변수들 간의 상호작용을 명확하게 이해하지 못했거나 구체화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오류. program이 교량변수들에 대한 정확한 개입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바람직한 program 성과들이 도출되지 않을 경우가 이러한 오류에 해당된다
-> 개입strategy 자체를 수정해야함. 즉 program 전면적인 수정.
(2) 실행 오류 : 교량변수에 대해 의도되었던 變化들이 나타나지 않은 경우, 이는 program 활동들의 조작화에 대한 문제로 볼 수 있다 즉 운영변수들의 설정에 있어서 발생한 오류.
-> program 운영변수에 속하는 전술이나 기술, program 실시 environment 등에 대한 analysis을 실시할 필요가 있음.
-> program 운영방식에 있어서의 變化를 필요로 함. 즉 program 부분적인 수정.
3) 성과의 규범적 기준과 측정(measurement)
formula(공식)적 평가는 성과에 대한 규범적 기준을 필요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