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스커뮤니케이션(매스미디어) 효율이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0 22:33
본문
Download : 매스커뮤니케이션(매스미디어) 효과이론.hwp
한편 1970년대 중반부터 미디어 의존이론(理論), 의미이론(理論), 모델링 이론(理論)등의 이른바 ‘대결과 이론(理論)’들이 다시 나타나기 스타트하였다. 그러나 중요한 점은 초기의 탄환이론(理論)과 근래 강결과 이론(理論)은 매스미디어의 힘을 크게 인정하는 점에서 서로 비슷하지만, 그 힘을 설명(說明)하는 이론(理論)적 가정에는 커다란 차이가 있다고 하겠다. 이들의 공통된 기본가definition 하나는 “매스미디어는 적지 않은 influence(영향)력이나 힘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 중결과 이론(理論)에서 중요한 점은, 그전까지는 “매스미디어가 사람에게 무슨 influence(영향)을 미치는가 ” 라는 것이 주된 연구관점 이었던데 반해, 이때부터는 “사람이 매스미디어를 가지고 무엇을 하는가?”가 관점이 되었다는 것이다. 이 후 이용과 충족이론(理論)이 나오게 되었으며, 1970년 초에는 의제설정기능이론(理論)이 나왔다. 그러나 이러한 탄환이론(理論)은 1940년대 중반부터 비판받기 스타트하였으며, 그 대신 선별결과 이론(理論)과 2단계 유통이론(理論)이 대두된다 이들 이론(理論)의 공통된 기본가정은 탄환이론(理論)과 반대로 “매스미디어는 극히 한정된 결과 를 갖고 있다”는 것이었다.
순서
%20%ED%9A%A8%EA%B3%BC%EC%9D%B4%EB%A1%A0_hwp_01.gif)
%20%ED%9A%A8%EA%B3%BC%EC%9D%B4%EB%A1%A0_hwp_02.gif)
%20%ED%9A%A8%EA%B3%BC%EC%9D%B4%EB%A1%A0_hwp_03.gif)
%20%ED%9A%A8%EA%B3%BC%EC%9D%B4%EB%A1%A0_hwp_04.gif)
%20%ED%9A%A8%EA%B3%BC%EC%9D%B4%EB%A1%A0_hwp_05.gif)
%20%ED%9A%A8%EA%B3%BC%EC%9D%B4%EB%A1%A0_hwp_06.gif)
매스커뮤니케이션(매스미디어) 효율이론
설명
1. 시대별 커뮤니케이션 결과 이론(理論)의 발전과정
2. 탄환이론(理論)의 요약
※ 탄환이론(理論)의 기본가정들
※ 탄환이론(理論)의 비판
3. 선별결과 이론(理論)
※ 선별결과 이론(理論)에 대한 비판
※ Klapper의 소결과 이론(理論)과 호블랜드의 개인차 이론(理論)적 선별결과 이론(理論)에 대한 평가
4. Erie군 연구를 통해 발견된 유권자에 대한 미디어의 결과
5. 2단계 유통이론(理論)의 기본가정
※ 오늘날 2단계 유통이론(理論)의 평가
6. 이용과 충족이론(理論)의 요약
※ Katz등에 의해 제시된 5가지 기본가정들
※ 3가지이론(理論)적 가정에 대한 요약
※ 이용과 충족이론(理論)에 대한 비판
※ 이용과 충족이론(理論)에 대한 평가
7. 의제설정기능이론(理論)
※ 기본가정
※ 의제설정이론(理論)의 조건적 가정들
※ 의제설정이론(理論)에 대한 비판
8. 간접적 대결과 이론(理論)
9. 강결과 이론(理論)
※ 침묵의가설과 침묵의 나선이론(理論)
※ 매스커뮤니케이션 결과 에 관련된 기본가정
※ 文化계발결과 이론(理論)
매스커뮤니케이션 결과 의 최초의 이론(理論)은 탄환이론(理論)이라고 할 수 있다아 1920 년대 대두되어 크게 각광받기 스타트한 탄환이론(理論)은 “매스미디어가 그 수용자들에게 강력하고 획일적인 influence(영향)을 직접적, 즉각적으로 미치고 있다”는 것이 그 기본가정이다. 다시 말해 매스미디어의 결과 가 강력하며 커다란 influence(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것으로 되돌아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이 ‘한정결과 이론(理論)’들도 1960년대로 들어서면서 비판대상이 되었다. 때문에 이들을 합쳐 ‘한정결과 이론(理論)’이라고 부른다.
한 가지 재미난 현상은 매스커뮤니케이션 결과 의 크기에 대한 이론(理論)적 가정들이 ‘사이클’을 그린다는 점이다.
2. 탄환이론(理論)의 요약
탄환이론(理論)은, 최초의 미디어결과 이론(理論)이라고 할 수 있는데, 매스미디어가 대중들에게 직…(省略)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다. 그 대표적인 것이 침묵의 나선이론(理論)과 계발결과 이론(理論)이다. 그러다가 매스미디어가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다는 주장의 이른바 ‘강결과 이론(理論)’이 나타났다.
시대별 매스미디어 효과이론의 각 이론들의 특징 및 내용에 대해 조사한 자료입니다. , 매스커뮤니케이션(매스미디어) 효과이론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매스커뮤니케이션(매스미디어) 효과이론.hwp( 38 )
시대별 매스미디어 효율이론의 각 이론들의 특징 및 내용에 대해 조사한 data(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