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 고층 구조 시스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8 22:55
본문
Download : 초 고층 구조 시스템.hwp
건물내부에 있는 폐쇄형 평면구조의 코어는 지반을 지점으로 한 캔틸레버 거동을 하므로 코어만으로 수평하중을 저항하려면 하부층의 벽두께는 상당히 커야 한다. 철골구조의 100층 정도의 고층건물에 경제적인 구조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모서리 기둥이 캔틸레버 트러스의 상.하 현재 역할을 하므로 매우 큰 하중을 부담할 수 있게 된다된다. Outrigger는 건물외관과 점유공간 문제로 중간의 기계설비층에 설치를 하게 된다된다. 가새가 기울어진 기둥 역할을 하므로 일반적으로 인장력은 발생하지 않으며 경사 부재의 방향은 45도 정도가 바람직하다.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서 좋은레포트 작성하세요.
열심히 작성한 리포트이며 교수님께 좋은 평을 받은 data(資料)입니다.
기초에 고정된 캔틸레버와 같은 형태의 단일벽체가 외력에 저항하는 것을 일반적으로 전단벽이라고 하지만, 코어와 같이 폐쇄형 평면구조의 벽체도 전단벽이라고 할 수 있다.
Outrigger를 적절한 층에 설치하였을 경우, 전단력에 저항하는 구조내력을 키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변위를 줄일 수 있는 效果를 얻을 수 있다. 건물 외부면에 가새를 설치하고 모서리 기둥의 동일한 지점에서 가새가 교차하며 각 면에 있는 모서리 기둥들 사이에서 X자형을 형성하게 한다.
고층구조시스템,고층구조,구조
초 고층 구조 시스템에 관련된 리포트입니다.
Download : 초 고층 구조 시스템.hwp( 81 )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연직하중하에서 가새부재는 하중과 부등변위를 재분배하는 역할도 하여 벽체응력을 균등화 한다. 열심히 작성한 레포트이며 교수님께 좋은 평을 받은 자료입니다.
초 고층 구조 시스템에 관련된 레포트입니다.





순서
초 고층 구조 시스템
참고data(資料)로 이용하셔서 좋은리포트 작성하세요.
다. 트러스튜브시스템은 골조튜브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간격으로 기둥을 배치할 수 있으므로 철골구조의 특징인 넓은 무주공간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장점(長點)이 있다.
설명
스팬드럴보의 강성에 의한 전단지연效果을 줄이고 강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외부에 가새 를 넣어 횡력을 부담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가새튜브라고도 한다. 캔틸레버 거동으로 나타난 코어의 전도모멘트(쓰러짐)를 감소시키면서 인장, 압축, 우력 등의 방법으로 코어 외부기둥에 그 응력을 전달하는 벨트모양의 구조체를 Outrigger라고 한다. 트러스 형태를 외관에서 어떻게 처리하는 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기둥과 보에 트러스형태의 가새를 배치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구조골조를 구성할 수 있다. 트러스튜브 구조방식은 수평 전단력을 휨보다는 자체 부재의 축력으로 저항할수 있는 강성이 큰 상자형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모든 외부 기둥들이 서로 결합되어 있는 시스템으로 골조 튜브 시스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게 트인 공간을 만들 수 있다.
Outrigger는 보통 코어와 외부기둥 사이에 트러스 형태로 구성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