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끄러움의 시학(詩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2 18:37
본문
Download : 부끄러움의 시학(詩學).hwp
이 작품은 아마도 그의 도덕적인 의미를 시화(詩化)한 대표적인 예가... , 부끄러움의 시학(詩學)인문사회레포트 ,
부끄러움의 시학(詩學)
Download : 부끄러움의 시학(詩學).hwp( 44 )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다.
설명
_hwp_01.gif)
_hwp_02.gif)
<전략(戰略) > 윤동주가 도쿄에 가기 전에 쓴 작품 중에서 서시(序詩)가 있다아 이 작품은 아마도 그의 도덕적인 의미를 시화(詩化)한 대표적인 예가...
윤동주가 도쿄에 가기 전에 쓴 작품 중에서 서시(序詩)가 있다 이 작품은 아마도 그의 도덕적인 의미를 시화(詩化)한 대표적인 예가 될 것이다.
별을 노래하는 …(투비컨티뉴드 )
레포트/인문사회
<전략> 윤동주가 도쿄에 가기 전에 쓴 작품 중에서 서시(序詩)가 있다.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
이와 같은 결의는 미상불 비범한 것일 수밖에 없는데, ‘한 점의 부끄럼’도 용납할 수 없다는 순정함은 보통 사람이 결의할 성질의 것이 안 된다 이 한 구절에서 윤동주의 작품에도 나타난 바, 세계 속에 있는 ‘나’의 도덕적 정립은 비상한 엄숙성을 수반할 수밖에 없었다고 생각된다 가령 ‘잎새에 이는’ 자연스런 바람을 보면서도 자신의 도덕적인 견실과 결백함이 추호라도 흐트러질까 염려하는 세심한 배려가 섬려(纖麗)한 감각으로 시화되고 있다 ‘잎새에 이는 바람’의 생동적 심상은 미동의 흐트러짐도 있어서는 안 되겠다는 그의 삶 전체에 걸친 준엄함 정신적 태도인데, 그것을 바람에 흔들리는 나뭇잎이라는 시각 심상을 통해, 엄숙성을 생경하지 않으면서 아름답게 감각화하고 있다 그러나 그의 이와 같은 견실함, 결백함, 순정(純正)함은 그만큼 어려운 고행적 결의이며, 흔히 있는 결의와는 상당히 다른 진지성으로 일관되어 있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