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제-이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2 21:10
본문
Download : 사회문제-이혼.hwp
이혼은 대부분의 이혼 당사자들에게 많은 어려움을 겪게 할 뿐 아니라 자녀들에게도 커다란 충격이 되는 사건이다.
2. 이혼의 동향
○ 2002년 총 이혼건수는 145.3천건(쌍)으로 2001년 135.0천건에 비하여 10.3천건 (7.6%)
증가하였음
- 1일 평균(average) 398쌍이 이혼한 것임
○ 조이혼율(인구천명당)은 92년 1.2건, 2001년 2.8건, 2002년 3.0건으로 꾸준히 증가추세를 유지하고 있어 10년전(92년)에 비해 2.5배 증가하였음
- 최근 이혼이 계속 늘어나는 것은 자기 중심적인 삶의 지향 등 가치관의 變化(변화)와 부부간의 성격차이, 가족간의 불화 등에 의한 것으로 풀이됨
가. 평균(average) 이혼연령
평균(average) 이혼연령 남녀 모두 꾸준한 증가세
○ 2002년 평균(average) 이혼연령은 남자 40.6세, 여자는 37.1세로 10년전(92년)에 비해 남자는 3.2세, 여자는 3.7세 늘어남
- 이는 10년이상 함께 살던 부부의 이혼 증가 및 혼인연령의 상승 등에 기인함
나. 동거기간별 이혼
20년이상 장기동거부부 이혼 꾸준히 증가
○ 2002년 이혼부부의 동거기간을 보면 5년미만은 26.9%로 10년전(92년 36.4%)에 비해 9.5%P 감소하여 꾸준히 줄고 있는 반면, 20년이상 장기동거부부의 이혼은 92년 6.2%에서 2002년 15.7%로 9.5%P 증가하였음
다.






사회문제-이혼
Download : 사회문제-이혼.hwp( 76 )
순서
1.이혼의 정이
2.이혼 동향
-이혼건수 및 조이혼율
-연령별 이혼
-평균(average) 이혼연령
-동거기간별 이혼
-이혼당시 20세미만 자녀 유무
-사유별 이혼
-이혼종류별 이혼
-시도별 이혼
3. 이혼 후 발생하는 문제들
- 자녀에게 미치는 influence(영향)
- 역할문제
- 경제문제
- 정신, 신체적문제
- 대인관계
4. 이혼발생 & 증가의 Cause
- 미시적 관점
- 거시적 관점
5.이혼과 관련된 현행 정책
- 법적지원
- 심리적 지원
- 경제적 지원
- 자녀를 위한 지원
6.이혼 관련 문제 해결 plan
- 이혼 예방을 위한 활성화 plan
- 대책 plan
- 사회적 지원체계 전文化(문화)
7.이혼관련 복지을 위한 사회복지적 접근
8. 느낀점
1.이혼의 정이
이혼이란, 법률상으로 유효하게 성립한 혼인관계를 결혼 당사자들의 협의 또는 재판상 절차를 거쳐서 소멸키는 것을 말한다.
,인문사회,레포트
사회문제-이혼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다. 사용하시는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가족의 핵을 이루는 부부가 어떤 이유로든 가정생활을 하지 못하고, 결혼과 가족의 관계를 해소시키는 가족생활이다.사회문제-이혼 , 사회문제-이혼인문사회레포트 ,
열심히 준비 하였습니다. 주된 이혼사유
주된 이혼사유는 성격차이, 가족간 불화 등
○ 2002년 주된 이혼사유는 성격차이가 44.7%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가족간 불화 14.4%, 경제문제 13.6% 등의 순으로 나타남
- 가족간 불화로 인한 이혼은 줄고있는 반면 경제문제로 인한 이혼은 느는 추세임
<2002년 이혼통계 결과>
1. 이혼건수…(투비컨티뉴드 )
열심히 준비 하였습니다. 사용하시는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