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강 가집의 판본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2 07:37
본문
Download : 송강 가집의 판본 고찰.hwp
상, 하 두 권으로 나누어서 상권에는 가사를, 하권에는 시조를 실어 놓았다.
설명
1. 서론
2. 송강 歌集의 판본
2-1 송강가사 판본의 종류와 간행 과정
2-2 각 판본의 특징과 판본간의 차이
3. conclusion(결론)
1) 성주본 : 이 판본의 서지를 살펴보면 사주쌍변유계, 반광 23×13㎝ 매면 8행, 매행 16자, 2권 1책, 44장이다.레포트/인문사회
송강가집의판본고찰12
Download : 송강 가집의 판본 고찰.hwp( 84 )
송강 가집의 판본 고찰
,인문사회,레포트
송강 가집의 판본을 고찰한 자료입니다.송강가집의판본고찰12 , 송강 가집의 판본 고찰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송강 가집의 판본을 고찰한 data(資料)입니다. 그리고 말미에는 정천의 근서와 정관하의 추기 등 두 발문이 붙어 있다
2) 의성본 : 소위 이선본이라 불러왔던 이 의성본은 방종현 소장 유Japan으로 사주단변유계, 반광 22×19㎝, 매면 10행, 매행 20자, 단권 26장이다. 상권은 “송강가사상”이라는 권제로 처음 하여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성산별곡, 장진주사 순으로 실어 놓았고, 하권은 “송강가사하”라는 권제로 처음 하여 “단가”를 실어 놓았는데 여기에 실린 시조는 경민편 소재 16수와 기타 시조 63수 등 총 79수이다.
“송강가사”라는 권제가 없이 바로 …(省略)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