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vironment(환경) 미생물實驗 - 그람염색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7 16:57
본문
Download : 환경미생물실험 - 그람염색.hwp
그람염색법에 의하여 세균들은 그람양성(gram positive)과 그람음성(gram negative)으로 구분되며 이런 特性은 세균의 분류, 동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特性이 된다된다.환경미생물실험 - 그람염색 , 환경미생물실험 - 그람염색생물의학실험과제 , 환경미생물실험 - 그람염색
environment(환경) 미생물實驗 - 그람염색
Download : 환경미생물실험 - 그람염색.hwp( 33 )
environment(환경) 미생물實驗 - 그람염색
환경미생물실험,-,그람염색,생물의학,실험과제
◈ 환경공학기초test(실험) 보고서 ◈
소속
학년
학번
test(실험) 조
성명
담당교수님
환경공학과
실습일자
제출일자
▣ theory(이론) ▣
그람염색법(Gram staining)은 1884년에 덴마크의 미생물학자인 Christian Gram에 의해 고안된 감별염색법(differential staining)으로 세균을 두 그룹으로 구분하여 준다. 단백질 변성과 지질의 용매로 …(省略)




순서
실험과제/생물의학
설명
다.
그람염색법은 단염색법에서 觀察할 수 있는 세균들의 크기, 형태, 배열상태 뿐만 아니라 세균을 그람양성과 음성의 두 그룹으로 구분 할 수 있다아 test(실험) 과정에서 단염색은 한 가지 염색액만 사용하는 반면 그람염색법은 세균들을 두 종류로 구분하기 위하여 두 종류의 염색액을 사용한다. 일차염색(primary stain)에 사용된 crystal violet이 탈색제(decolorizing agent)에 의해 탈색되는지 여부에 의해 test(실험) 결과가 결정되며, 탈색정도는 세균 세포벽 구성ingredient의 차이에 의하여 결정된다된다.
염색과정 중 core적인 과정은 일차염색과 탈색, 그리고 대조염색 등이다. 그 중에서도 탈색과정이 가장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람양성균은 20~28 정도의 두꺼운 peptidoglycan층을 지니고 있고, 그람음성세균은 2~7 정도의 그람양성균에 비하여 얇은 peptidoglycan층을 지니고 있으며 지질(lipid)을 함유한 층을 바깥쪽에 지니고 있다아 따라서 이런 세포벽 구성 ingredient의 차이에 의해 세균들은 두 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다아
crystal violet을 염색 후에 사용된 Gram`s iodine은 매염제(mordant)로서 crystal violet과 결합하여 불용성의 crystal violet-iodine(CVI) 복합체를 형성하여 염색능을 향상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