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 3민중항쟁의 전개과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2 08:43
본문
Download : 제주 4 3민중항쟁의 전개과정.hwp
이에 미군정은 최경록을 그 후임에 임명하여 박진경 암살사건의 전모를 파헤치는 한편, 민중들에 대한 수색작업을 계속하였고, 7者 15일에는 송요찬을 새로운 연대장으로 임명하여 그로 하여금 약 한달 동안 새로이 부대정비를 하게 한 다음 유격대에 대한 공격을 재개하도록 하였다. 이에 미군정은 최경록을 그 후임에 임명하여 박진경 ...
다.
그러나 부대를 정비한 송요찬이 9월초부터 대유격대 진압작전을 전개하기 처음 하면서 다시 무discrimination적인 초토화작전이 전개되기 처음 하였다.
이러한 때 8월 초순, 김달삼, 강규찬 등 유격대 주요 지휘관 6명이 해주의 남조선인민 대표자회의 참석을 명분으로 제주를 탈출하는 사건이 발생하고 또한 8월 15일 대한민국 government 가 수립되는 등의 정치일정 등으로 인하여 유격대는 장기항전 준비에 돌입하게 되고, 경비대의 대유격대 진압작전 또한 일시적으로 소강상태에 게릴라 동조 험의로 토벌대원에게 잡힌 남녀 주민들. 들어가게 된다된다. 제주 민중 학살을 명령받고 여수에서 출동 대기 중이던 government 군 14연대 장병 )천여 명이 10월 19일 `제주도 출동 거부` 를 외치며 봉기를 일으킨 것이다.
이에 유격대도 또한 10월 24일 대한민국 government 에 대하여 선전포고를 하는 한편으로 government 군 및 경찰에게 학살 만행을 즉각 중지할 것을 호소하였다,
`친애하는 장병, 경찰원들이여 !
총뿌리를 잘 살퍼라! 그 총이 어디서 나왔느냐!…(투비컨티뉴드 )
설명
순서
6월 18일 마침내 박진경은 문상길 등의 경비대 군인에 의해 `민족의 이름으로` 처단되었다. 이에 미군정은 최경록을 그 후임에 임명하여 박진경 ... , 제주 4 3민중항쟁의 전개과정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제주 4 3민중항쟁의 전개과정.hwp( 63 )






6월 18일 마침내 박진경은 문상길 등의 경비대 군인에 의해 `민족의 이름으로` 처단되었다.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제주 4 3민중항쟁의 전개과정
6월 18일 마침내 박진경은 문상길 등의 경비대 군인에 의해 `민족의 이름으로` 처단되었다. 송요찬과 이후 10월 11일 그의 뒤를 이은 김상겸에 의해 강력한 토끼몰이식 수색작전과 모두 불사르고, 모두 죽이고, 모두 약탈하는, 그리하여 불태워 없애고, 죽여 없애고, 굶겨 없애는 이른바 `삼광(三光)`, `삼진 (三盡)‘ 작전이라는 전율할 대량학살작전이 전개되면서 유격대는 축소되어 갔고, 유격대 세력의 몇배에 달하는 숫자의 `폭도사살` 전과가 기록되어 갔다 (그림37)
「한국 전쟁의 전개과정」에 실린 진압작전 중의 제주 마을 사진.
그러나 `민족의 양심` 이 완전히 사라진 것만은 아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