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산지형에 관련되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7 16:42
본문
Download : 화산지형에 대해서_3207269.hwp
수증기의대부분은 화산체나 그 기반암에 포함되어 있던 물이 재순환 하는 것이다.화산지형에_대해서 , 화산지형에 대해서기타레포트 ,






I. 화산 분출물
Ⅱ. 분화의 유형
Ⅲ. 화산의 형태
Ⅳ. 화구지형
Ⅴ. 화산체의 개석
I. 화산 분출물
A. 화도(volcanic vent)
-지표로 통하는 화산분출물의 통로
B. 화구(crater)
-화도의 상단
-화구에서 분출되는 물질은 화산가스, 용암, 화산쇄설물 등으로 이루어져 있음.
C. 마그마 체임버(magma chamber)
-화도 밑의 마그마가 저장되어 있는 곳
-마그마는 용융상태의 비휘발성 물질과 휘발성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아 마그마는 깊은 곳에서 고압력하에 놓여 있기 때문에, 휘발성의 가스 constituent 은 비용융 상태의 비휘발성 물질 속에 완전히 용해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마그마가 화도를 통하여 화구에 접근하면, 압력이 낮아지므로 마그마중의 가스 constituent 은 따로 분리되어 기체로 변하며, 이 때문에 마그마의 constituent 이 처음과는 달라진다.
D. 화산 가스(volcanic gas)
화산이 분출할 때는 화산 가스가 대량으로 분출된다 화산가스의 95%는 수증기이다. 화산가스 중에는 산소와 수소도 들어 있으며, 그 중의 일부는 분출시에 화합되여 물이 된다
1. 처녀수(juvenile water)
처음으로 지표로 나와 수권에서 추가되는 물, 즉 마그마에서 기원한 물
2. 수증기 이외의 가스
이상화탄소, 질소, 아황산 가스, 소량의 수소, 일산화탄소, 황, 염소
3. 가스의 분출량
a) 日本 의 오시마섬의 미하라산(1950~1951) - 1초에 0.055~2.1t의 가스 방출
- 전체 분출된 용암의 10~15%에 해당
b) 캄차카반도의 베지미아니 화산(1956) - 전체 분출물의 2.5%의 수증기 방출
E. 용 암(lava)
- 지표로 분출한 마그마가 아직 녹은 상태에 있는 것
- 마그마가 지표에 분출, 급속히 냉각∙고결하여 생긴 비정질 내지 미정질 화산암
1. 용암의 SiO2 의 함유량에 따른 분류
a) 산성 용암(66% 이상) : 유문암 - 저온, 유동성 小 → 硅長…(drop)
화산지형에 관련되어
Download : 화산지형에 대해서_3207269.hwp( 93 )
분화의 유형과 화구지형에 관련되어 작성했습니다.,기타,레포트
분화의 유형과 화구지형에 대해서 작성했습니다.
레포트/기타
설명
화산지형에_관련되어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