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파와 좌우합작운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30 12:01
본문
Download : 중도파와 좌우합작운동.hwp
이 소식을 접한 이승만, 김구 등의 우익세력은 대대적인 신탁반대운동에 나서 궐기하였다.
2. 본론
1) 모스크바 회담과 신탁통치안
한국인의 자발적인 건국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던 1945년 말에 모스크바에서는 미국, 소련, 영국의 외상들이 모여 삼상회의를 열고 ‘한국문제에 관한 4개항의 결의서’(이른바 신탁통치안)를 결정했다. 좌익과 우익의 대립은 때로는 Japan에 대한 적대감보다는 서로에 대한 적대감이 더 크게 표출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런 이유로 통일전선운동이 추진된 것이다. 그러나 같은 반탁운동이라도 이승만은 남한에서만이라도 빠른 시일내에 단독政府(정부)를 수리하기 위함이었고, 김구는 즉각적인 남북한 통일政府(정부)수립을 위해 신탁에 반대하였다.
우익의 반대의사와는 관계없이 미국과 소련은 신탁통치안을 실천하기 위해 두 차례(次例)에 걸쳐 ‘미·소공동위원회’를 열었다…(생략(省略))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중도파와 좌우합작운동.hwp( 33 )




중도파와 좌우합작운동좌우합작운동 , 중도파와 좌우합작운동인문사회레포트 ,
중도파와 좌우합작운동
좌우합작운동
다. 그러나 해방과 함께 연합국에 의해 38도선이 그어져 미·소 양군이 그 남북을 분할 점령했으며, 그에 따라 좌익은 극좌화하고 우익은 극우화해 감으로써 민족분단의 위험이 높아져 갔다.
본론에서는 좌익과 우익의 대립요인과 이후 좌우합작운동의 전개과정 및 의의등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한편, 좌익세력은 신탁에 찬성하고 나섰다. 이 결의서에 들어 있는 신탁통치안은 이미 연합국이 1943년에 카이로, 1945년에 얄타, 포츠담에서 회의를 열어 전후처리문제를 협의하는 과정에서 우리나라 ‘민중의 노예상태에 유의하여 적당한 절차를 밟아서’ 독립시키겠다고 결의한 방침에 따른 것이었다.순서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중도파와 좌우합작운동
1. 서론
2. 본론
1) 모스크바회담와 신탁통치안
2) 중도파
3) 좌우합작운동의 전개
4) 좌우합작운동의 경과
3. conclusion
1. 서론
일제강점 시대 우리 민족해방운동전선의 투쟁 목적은 해방 후 하나의 민족국가를 건설하는 일이었다. 이 안은 먼저 미·소 공동위원회와 ‘임시政府(정부)’를 조직하여, 상호협의하에 최고 5년을 기한으로 하는 신탁통치실시에 관한 논의를 주요 골자로 하였다. 1946년과 1947년은 이 문제로 좌우가 격렬하게 대립하던 시기였다. 따라서 좌우의 대립을 극복하고 독립을 위한 투쟁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은 당연한 민족적 요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