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저스의 현상학적 理論(이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0 13:19
본문
Download : 로저스의 현상학적 이론(2).hwp
즉 자신의 신체적 심리적 건강과 성장에 도움이 되는 것은 좋아하고 해가 되는 것은 설어한다는 의미이다.
로저스의 성격theory 을 현상학적이라고 하는 이유는 성격과 행동을 이해하려면 의식하는 주체에서 나타나는 직접적 사실(철학용어로 현상), 즉 체험을 파악하고 기술해야 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체험이란 어느 한 순간에 잠재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유기체 안에서 진행되는 모든 것이다. 타인의 현상적 장은 그의 입장이 되어 그가 느끼는 대로 느껴 보면서(감정이입) 추론하는 수밖에 없고, 완전히 알 수는 없다. `나는 배가 고프다`는 느낌이 자기체험(…(drop)
순서
다.
유아기 때에는 유기체 차원에서 생존한다.
유기체란 현상적 장(phenomenal field)과 자기 둘 다를 포함하며 체험이란 몸 안에서 일어나는 일들, 외부 세계. 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지각하는 것이며 의식하거나 의식하지 못하는 체험 전체가 현상적 장이 된다된다.
레포트/자연과학
로저스,현상학적,이론,자연과학,레포트
_hwp_01.gif)
_hwp_02.gif)
로저스의 현상학적 理論(이론)
설명
로저스의 현상학적 理論(이론)
Download : 로저스의 현상학적 이론(2).hwp( 63 )
로저스의 현상학적 이론 , 로저스의 현상학적 이론자연과학레포트 , 로저스 현상학적 이론
로저스의 현상학적 theory
1940년대 초기에 로저스(C. R. Rogers)는 개인치료에서의 지시적 접근과 전통적인 정신분석적 접근에 대한 반동으로 비지시적 상담을 개발했으며, 현상학적 심리학의 대변자 중 한 사람이다. 유기체와 자기(self)가 로저스 theory 의 근본 concept(개념)이다.
순간순간 체험들은 실현 경향을 준거로 좋고 나쁨이 평가되는데 이것이 유기체적 평가괴친(organismic valuing process)이다. 잠재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것이란 체험의 일부가 의식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상학이란 개인의 주관적 경험, 감정, 세계와 나 자신에 대한 개인적 견해 및 사적 concept(개념)(private concept)을 연구하는 것이다. 아기에게는 자신의 체험이 곧 현실이지만 시간이 지나서 엄마와 내가 분리되는 체험, 즉 현상적 장의 일부가 `나`와 연결된다된다. 어떤 사람이 일에 집중하여 정신을 팔면 배고픔을 잊을 수는 있지만 그래도 배고픔은 체험의 일부이다. 배고프면 먹고 배부르면 안 먹는다. 체험의 주체는 유기체 즉 생물체이며 다시 말하면 우리의 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