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aser의 교수과정 모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4 07:39
본문
Download : Glaser의 교수과정 모형.hwp
교수goal(목표) 는 수업이 효과(效果)적인 경우 그 수업과정에 참여한 학생들의 생각과 느낌과 행동이 어떻게 변해야 하는지를 표현한 진술문이리고 할 수 있다 즉 교수 goal(목표) 는 단원의 수업, 한 교과 코스 또는 학교 교육의 전체과정에 참여한 결과로서 얻어지는 變化(변화)된 지식의 종류, 지적 능력, 흥미, 태도 등의 학생property(특성)을 조작적인 형태로 표현한 문장이다.
2. 투입행동
Glaser 모형의 두 번째 단계는 투입행동 혹은 출발점 행동의 진단이다.Glaserreport97 , Glaser의 교수과정 모형사범교육레포트 ,
Glaserreport97






설명
순서
,사범교육,레포트
다.
레포트/사범교육
Download : Glaser의 교수과정 모형.hwp( 89 )
Ⅰ. Glaser의 생애
Ⅱ. 교수과정 모형의 개관
1. 교수goal(목표)
2. 투입행동
3. 교수절차
4. 학습평가
5. Glaser의 교수과정 모형의 특징
Ⅲ. 교수과정 모형의 적용
1. 새 수업체제 모형
2. 교수goal(목표) 의 진술
3. 형성평가
Ⅳ. 용어요약
* 참 고 문 헌 *
1. 교수goal(목표)
교수과定義(정의) 첫 단계는 성취되어야 할 goal(목표) 를 구체화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특정한 교수활동이 종료된 후에 학습자들에게 성취되기를 바라는 goal(목표) , 즉 종착점행동(terminal behavior)을 설정하는 단계이다.
김호권은 교수goal(목표) 를 다음과 같이 定義(정의)하였다.
출발점 행동의 진단은 지능, 적성, 선행학습수준, 학습동기, 학습책략, 흥미 등과 같이 학습자의 개인차 변인과 관련되어있다 따라서 교사는 수업 전 진단평가를 통해 학생들의 선수학습 능력을 …(skip)
Glaser의 생애와 교수과정 모형의 개관 및 적용 및 용어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이런 의미에서 교수goal(목표) 는 수업의 소산으로서의 학습성과(learning outcomes)를 담은 문장이라고 할 수 있다
교수goal(목표) 는 세분화하여 적절한 순서로 계열화하여 학생들이 교수goal(목표) 에 쉽게 도달하도록 해야하며 수업 후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추상적인 진술보다는 관찰할 수 있고 측정(測定) 할 수 있도록 행동적·구체적인 용어로 진술되어야 한다. 즉 새로운 수업이 처음 되는 단계에서 학생들이 가지는 선행학습의 정도를 진단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교사는 수업goal(목표) 선정에 있어 먼저 교과내용에 대한 풍부한 지식을 갖추는 일과 현행 교육과定義(정의) 기본 goal(목표) 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어야 하겠다.
Glaser의 교수과정 모형
Glaser의 생애와 교수과정 모형의 개관 및 적용 및 용어에 마주향하여 설명했습니다. 이렇게 진단된 투입행동은 학습자의 수준에 적절한 학습내용과 교수방법의 선정하는 근거로 사용된다된다. 출발점 행동의 진단이란 수업을 하기 전 수업을 원활하게 진행하고 교수goal(목표) 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학생들의 일반적인 인성property(특성), 적성, 학습경험, 학습습관 등을 진단하는 활동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