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론] 현실치료 모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4 02:22본문
Download : [사회복지실천론] 현실치료 모델.hwp
① 상담환경 가꾸기
순서
설명
② 욕구,지각 탐색하기
⑤ 계획하기
1) 통제theory(이론)
⑥ 계획에 대한 약속하기
◈ 상담의 目標(목표) - 상담의 궁극적 目標(목표)는 Ct 스스로가 자율성을 가지고 그의 모든 행동이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면서 다른 사람의 욕구충족도 방해하지 않는 책임있는 행동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2) 인간의 기본적 욕구
* 정신analysis과 현실치료 비교
정신의학자인 William Glasser에 의해 치료모델로 개발된 것으로, 모든 유기체들이 행동하는 이유와 방식에 대한 설명을 이론적이며 실천적으로 제시해 줌으로써 상담이론 및 실제에 현실적이며 구체적인 접근방법을 제시하고 인간의 이해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고 있다. 다섯 가지 욕구는 “생존 및 생식의 욕구, 소속의 욕구, 중요한 존재로 인정받으려는 욕구, 자유에 대한 욕구, 즐거움에 대한 욕구”이다. * 정신분석과 현실치료 비교
사회복지실천론,현실치료 모델
③ 모든 행동(행동하기, 생각하기, 느끼기, 신체反應(반응)) 탐색하기
정신의학자인 William Glasser에 의해 치료모델로 개발된 것으로, 모든 유기체들이 행동하는 이유와 방식에 대한 설명(說明)을 理論적이며 실천적으로 제시해 줌으로써 상담理論 및 실제에 현실적이며 구체적인 접근방법을 제시하고 인간의 이해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행동수정과 같이 증상지향적이며 현실해결해야할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체적인 게획과 실행의 기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선호되고 있다
3) 상담과정
◈ 현실치료 진행절차
Glasser는 인간은 다섯 가지의 기본적 욕구를 가지고 태어나며, 한 가지가 충족되면 또 다른 욕구를 충족하고자 한다고 믿었다.
Download : [사회복지실천론] 현실치료 모델.hwp( 40 )
[사회복지실천론] 현실치료 모델
Glasser에 의해 개발된 인간행동을 설명하는 통제theory(이론)에 의하면, 우리는 우리의 머리 속에 현실이 어떠하다는 사진과 세상이 어떠했으면 좋겠다는 사진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의 모든 행동은 그 둘 사이의 차이를 줄이기 위한 끊임없는 시도라고 주장하였다. 또한 행동수정과 같이 증상지향적이며 현실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체적인 게획과 실행의 기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선호되고 있다. 인간은 이러한 욕구 충족을 위해서는 행동하는 수밖에 없으며 행동을 통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이다.
![[사회복지실천론] 현실치료 모델-6281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6/%5B%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B%A1%A0%5D%20%ED%98%84%EC%8B%A4%EC%B9%98%EB%A3%8C%20%EB%AA%A8%EB%8D%B8-6281_01.jpg)
![[사회복지실천론] 현실치료 모델-6281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6/%5B%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B%A1%A0%5D%20%ED%98%84%EC%8B%A4%EC%B9%98%EB%A3%8C%20%EB%AA%A8%EB%8D%B8-6281_02_.jpg)
![[사회복지실천론] 현실치료 모델-6281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6/%5B%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B%A1%A0%5D%20%ED%98%84%EC%8B%A4%EC%B9%98%EB%A3%8C%20%EB%AA%A8%EB%8D%B8-6281_03_.jpg)


그런데 인간의 욕구는 단순하지 않기 때문에 여러 가지 욕구가 동시에 일어나기도 하는데 그러한 경우 겪게 되는 갈등과 그 갈등의 해결과정이 인간을 지혜롭게 만들어 준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④ 행동계획을 위한 자기평가하기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