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도(硬度)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8 07:03
본문
Download : 경도(硬度).ppt
미리 완충 용액을 사용하여 검수의 Ph를 약 10으로 조절한 후에 EBT를 지시약으로 하여 EDTA 용액으로 적정하여 구한다.
theory 적 배경
다음에 이 용액 중에 EDTA 표준 용액을 적가하면 EDTA의 쪽이 EBT보다도 Ca, Mg의 킬레이트 화합물을 만들기 쉽기 때문에 Ca, Mg 순서로 EDTA와 결합하여 무색의 킬레이…(skip)
레포트/자연과학
경도(硬度)
경도(硬度) , 경도(硬度)자연과학레포트 , 경도(硬度)
경도(硬度)
순서
_ppt_01.gif)
_ppt_02.gif)
_ppt_03.gif)
_ppt_04.gif)
_ppt_05.gif)
_ppt_06.gif)
경도(硬度),자연과학,레포트
Download : 경도(硬度).ppt( 43 )
다.설명
경도(硬度)
theory 적 배경
1) 경도(hardness)
경도를 유발하는 주요 양 음 이온
양이온
음이온
Ca2+
HCO3-
Mg2+
SO42-
Sr2+
CI-
Fe2+
NO3-
Mn2+
SiO32-
theory 적 배경
경도(또는 전경도:Total Hardness)라 함은 물속에 용해되어 있는 Ca2+, Mg2+ 등의 2가 양이온 금속이온에 의하여 발생하며 이에 대응하는 CaCO3(ppm)으로 환산표시한 값으로 물의 세기를 나타낸다. 물의 경도는 주로 토양과 암석층을 통과한 물에서 얻어지게 되는데 밋물 자체로는 그 많은 양의 고형물을 용해시킬만한 능력이 없다.
theory 적 배경
2)경도의 분류 및 實驗(실험) 원리
① 전경도(총경도)
물중의 칼슘 및 마스네슘이온에 의한 경도를 말한다.
EBT의 수용액은 Ph10 부근에서는 청색을 띠지만 Ca2+ , Mg2+ 등의 금속이온 M2+를 함유한 용액 중에 가하면 킬레이트화를 일으켜, 적색~ 적자색을 띤다. 정도를 유발하는 용해능력은 흙에서 이루어지는 박테리아의 작용으로 발생한 CO2 탓으로 빗물이 토양층으로 통과하면서 CO2 가 용해되고 탄산과 평형상태를 이루게 된다된다. 따라서 센물은 주로 표토층이 두텁고 석회암층이 존재하는 곳에서 발생하기 쉽고 단물은 표토층이 얇고 석회암층이 없거나 드문 지역에서 발생한다.
theory 적 배경
여기서 생긴 낮은 pH의 토양수는 염기성물질인 석회암 등을 용해시키고 석회암 속의 탄산염, 황산염, 규산염 등을 포함시키게 된다된다. 또한 지표수보다 지하수의 경도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