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수양록] 우리는 모두 돼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19 16:56
본문
Download : [독서수양록] 우리는 모두 돼지.hwp
p196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듣고 싶은 것만 듣는다. 보니 만화였다. -책날개. 김지룡 日本(일본)文化(culture) 평론가 왈.
`저자`
고이즈미 요시히로.1953년 출생. 무사시노 미술대 졸업. 광고와 출판에서 활약. 불교미술 연구를 하다가 동양철학에 흥미를 느껴 책을 내기 이르렀다.
이 만화는 불교철학을 쉽게 풀어놓은 책이다.
1.그렇구나. 자신이 나약하다는 게 나쁜 일만은 아니네.
2.누구나 약한 점과 강한 점을 지니고 있고
3.나약해도 나는 나야. 나약해도 자신을 사랑하는 게 마음 편하군.
4.(룰루랄라) p104
고민이 생기면.
1.비가오면
2.그치기를 기다리면 돼
3.고민이 생기면
4.고민이 없어지길 기다리면 돼. p123
달걀.
1.달걀이 있다
2.달걀을 먹는다
3.닭량이 소화되어 내 몸의 일부가 된다
4.응 달걀이 내가 되었다. 어떤 것을 볼 때 사진도 같이 찍어보자. 나는 내가 보고 싶은 것만 본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달걀은 내가 아니잖아. 나도 달걀이 아니겠지. 응
내가 된 달걀은 뺨 근처에 있을까 배 근처에 있을까
나는 달걀이기도 하고,
밀가루 이기도 하고,
양배추이기도 하고.
나와 내 주위 것들의 차이는 무엇일까
나와 세계의 경계는 어디 어디에 있지 p146
이 세상 전부가 내 마음에서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日本(일본)어로 부처는 ‘붓다’고 돼지는 ‘부타’다. 헌 책방에서 샀다. 소재는 부처와 돼지. 여러 돼지 캐릭터들이 나와서 불교사상에 대해 조금씩 이해하는 형식이다.
1.그렇구나. 자신이 나약하다는 게 나쁜 일만은 아니네.
2.누구나 약한 점과 강한 점을 지니고 있고
3.나약해도 나는 나야. 나약해도 자신을 사랑하는 게 마음 편하군.
4.(룰루랄라) p104
고민이 생기면.
1.비가오면
2.그치기를 기다리면 돼
3.고민이 생기면
4.고민이 없어지길 기다리면 돼. p123
달걀.
1.달걀이 있다
2.달걀을 먹는다
3.닭량이 소화되어 내 몸의 일부가 된다
4.응 달걀이 내가 되었다. 네 컷만화, 혹은 여덟 컷 만화였다. 심오한 불교사상을 네 컷 만화로 그려내려니 무…(To be continued )
다.
`소감`
어디선가 紹介받은 책이다.
독서수양록,우리,모두,돼지,감상서평,레포트
![[독서수양록]%20우리는%20모두%20돼지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F%85%EC%84%9C%EC%88%98%EC%96%91%EB%A1%9D%5D%20%EC%9A%B0%EB%A6%AC%EB%8A%94%20%EB%AA%A8%EB%91%90%20%EB%8F%BC%EC%A7%80_hwp_01.gif)
![[독서수양록]%20우리는%20모두%20돼지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F%85%EC%84%9C%EC%88%98%EC%96%91%EB%A1%9D%5D%20%EC%9A%B0%EB%A6%AC%EB%8A%94%20%EB%AA%A8%EB%91%90%20%EB%8F%BC%EC%A7%80_hwp_02.gif)
레포트/감상서평
순서
설명
[독서수양록] 우리는 모두 돼지
[독서수양록] 우리는 모두 돼지 , [독서수양록] 우리는 모두 돼지감상서평레포트 , 독서수양록 우리 모두 돼지
[독서수양록] 우리는 모두 돼지
Download : [독서수양록] 우리는 모두 돼지.hwp( 75 )
우리는 모두 돼지
고이즈미 요시히로
김지룡 옮김
들녘
초판 1쇄 2002년 5월
초판 4쇄 2004년 9월
만화 ` 교양만화
`밑줄`
자신을 인정한다. 달걀은 내가 아니잖아. 나도 달걀이 아니겠지. 응
내가 된 달걀은 뺨 근처에 있을까 배 근처에 있을까
나는 달걀이기도 하고,
밀가루 이기도 하고,
양배추이기도 하고.
나와 내 주위 것들의 차이는 무엇일까
나와 세계의 경계는 어디 어디에 있지 p146
이 세...
우리는 모두 돼지
고이즈미 요시히로
김지룡 옮김
들녘
초판 1쇄 2002년 5월
초판 4쇄 2004년 9월
만화 ` 교양만화
`밑줄`
자신을 인정한다. 어떤 이야기를 혹은 소리를 들을 때 녹음도 같이해보자. 나는 내가 듣고 싶은 이야기 혹은 어떤 소리만 듣는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