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대 우리나라 도시발전 계획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2 12:53
본문
Download : 1980년대 우리나라 도시발전 계획_5050900.hwp
택지개발이라 하더라도 1지구의 인구규모는 17만인에 달하여 주택단지가 아니라 바로 중도시건설에 속한다. 더구나 수도권내 인구증가로 인하여 심각한 주택부족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양 평촌, 군포 산본에 대규모 택지개발을 하기에 이르렀다.
사업기간은 1989년부터 1992년까지 완성할 계획이며 기존도시인 안양과 군포 도시구조와 연계하는 신시가지조성으로 주택수요에 부응하면서 쾌적한 도시環境(환경)을 goal(목표) 로 하는 신도시 건설이라 할수 있다
교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서울-수원, 서울-안산 방향의 우회도로를 건설하고 수도권순환고속도로의 건설과 서울의 지하철을 연장운행하는 계획이다. 이에 대처하는 시책의 하나로 1988년 주택 200만호 건설계획을 발표한 바 있었다.1980년대 우리나라 도시발전 계획


설명
,경영경제,레포트
레포트/경영경제
1980년대우리나라도시발전계획 , 1980년대 우리나라 도시발전 계획경영경제레포트 ,
Download : 1980년대 우리나라 도시발전 계획_5050900.hwp( 41 )
1. 제2차 국토종합개발계획의 추진
2. 수도권의 정비
3. 신도시의 건설
3. 신도시의 건설
① 안양시 평촌지구, 군포시 산본지구 대규모 택지개발
경제성장과 더불어 주택건설에 상당한 투자를 확대해 왔으나 해마다 무주택자는 증가하여 왔다. 1989년 서울의 택지수요부족으로 계획되어 개발은 주택수요에 맞추어 1992년까지 단계적으…(생략(省略))
1980년대우리나라도시발전계획
순서
다.
② 일산신도시
서울 북쪽 경기도 고양군 일산읍에 신도시를 건설하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