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속요의 여음의 기능과 특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12 14:16본문
Download : 고려속요의 여음의 기능과 특징.hwp
둘째, ‘아소 님하’는 시가의 끝에서 한편의 시가 내용을 수렴하여 압축적으로 제시하는 기능을 하며, 시가를 완전히 종결짓는다. 연장체의 시가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앞서 제시한 바,<사모곡>의 위 5행으로서 시상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의미상 종결이 완료되었다고 보이는데도 불구하고 ‘아소 님하’ 이하로써 다시 한 번 주제를 부연, 강조한다. <사모곡>은 단련의 노래이므로 이것만으로 한 편의 시가가 끝났다는 지시를 하기에 부족하므로 다시 ‘아소 님하’가 부기된 것으로 보인다.고려여음기능9 , 고려속요의 여음의 기능과 특징기타레포트 ,
,기타,레포트
레포트/기타
고려여음기능9
설명
Download : 고려속요의 여음의 기능과 특징.hwp( 45 )
순서
고려속요의 여음의 기능과 특징






다.
차 례
Ⅰ.서 론
Ⅱ.본 론
(1)고려 가요에 나타난 여음,후렴의 양상
(2)나 의 여음 여부
Ⅲ.결 론
<사모곡>의 경우는 다소 특이하다.
‘아소 님하’ 계열을 정리(整理) 해 보면,
첫째, ‘아소 님하’ 부분은 단련의 시에 붙이는 것이 원칙이다.
고려속요의 여음의 기능과 특징에 관해 정리한 자료(資料)입니다. 한 편, 이 때문에 내용상 관련성이 없는 내용들이 의도적으로 재구성된 경우에 이들을…(생략(省略))
고려속요의 여음의 기능과 특징에 관해 정리한 자료입니다. 다른 여음구가 첨가되었을 경우에도 다시 덧붙을 수 있따
셋째, 기능으로 보아 원시가에 없던 부분이 ‘아소 님하’에 의해 종결의 기능, 악장의 성격에 맞는 송도의 기능을 위해 덧붙여졌을 가능성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