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인문사회] 사이버 공간과 文化 / 사이버 공간과 文化 목차 1. 사이버공간의 관념 2.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7 10:27
본문
Download : 사이버 공간과 문화.hwp
다만 프로그램될 뿐이고, 프로그램에 따라 움직일 뿐이다. 사이버 공간과 文化 목차 1. 사이버공간의 관념 2. 사이버공간의 特性(특성) ...
순서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사이버 공간과 문화 목차 1. 사이버공간의 개념 2. 사이버공간의 특성 ...
사이버 공간과 文化(culture) 목차 . 사이버공간의 槪念. 사이버공간의 속성 . 사이버공간과 文化(culture) . 현실과 매체 . 사이버공간의 槪念 `사이버공간`이란 무엇인가 이 용어 자체는 윌리엄 깁슨(William Gibson)이라는 소설가가 1984년에 발표한 {뉴로맨서}(노혜경 옮김, 열림원, 1996)를 통해 널리 알려졌다. 마투라나(Maturana)와 바렐라(Varella)가 {지식의 나무}에서 적절히 지적하듯이 컴퓨터와 달리 사람은 생각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컴퓨터는 생각하지 않는다. 그것은 컴퓨터와 인간의 두뇌를 직접 연결해서 컴퓨터가 생성하는 이미지를 우리가 생생한 현실로 받아들이게 되는 상태를 뜻한다. 그 뒤에는 당시 막 새로운 발전국면에 접어들고 있던 컴퓨터 기술을 이 용어로써 치장하고 널리 판촉하고자 했던 미국의 컴퓨터 산업계가 자리잡고 있다아 가상현실과 연관된 혼...
인문사회 사이버 공간과 문화 / 사이버 공간과 문화 목차 1. 사이버공간의 개념 2.
설명
Download : 사이버 공간과 문화.hwp( 46 )





[인문사회] 사이버 공간과 文化 / 사이버 공간과 文化 목차 1. 사이버공간의 관념 2.
다. 이 소설에서 사이버공간은 `槪念적 공간`으로 정의된다 요컨대 공간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는 하지만, 실제로 물리적 공간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라는 뜻이다. 이런 식의 사이버공간은 그뒤에 `가상현실`이라는 이름으로 기술화되기 처음 했으며, 영화 {론머맨}과 {매트릭스}에서는 이 기술이 굉장히 과장된 형태로 묘사되었다. 사이버공간이라는 용어는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세계적으로 유행하게 되었다. 한스 모라벡(Hans Moravec)과 같이 인간의 기억을 컴퓨터 기억장치에 `내려받기`를 하려는 얼빠진 과학자들도 있기는 하지만, 이런 식의 시도는 사람을 기계로 여긴다는 점에서 윤리적으로뿐만 아니라 더 중요하게는 과학적으로 큰 잘못을 저지르는 것이다. 사실 {뉴로맨서}에서 윌리엄 깁슨이 묘사한 것과 같은 사이버공간은, 제 아무리 가상현실이라는 이름으로 열렬히 추구되고 있을지라도, 결코 현실화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