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뭉치에서의 띄어쓰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10 11:29
본문
Download : 말뭉치에서의 띄어쓰기.hwp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말뭉치에서의 띄어쓰기
1. 연구 목적
2. 말뭉치 reference(자료)와 띄어쓰기
1) 계량 단위로써의 띄어쓰기
2) 띄어쓰기의 원칙과 입말뭉치에서의 적용
3. 입말뭉치의 띄어쓰기 용례
1) 합성어와 구
① 합성어(합성 용언 제외)
② 합성 용언
③ 보조 용언
2) 의존 명사
3) 관형사
4) 입말에 자주 나타나는 표현
5) 외래어와 외국어
6) 기타
4. conclusion(결론)
서지사항
1. 연구 목적
말뭉치는, reference(자료)의 효과(效果)적인 추출을 위해 통일성 있게 표기되어야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난 2년 동안(1998년 ∼ 1999년)의 ■■21世紀 세종 계획■■ 기초 말뭉치 구축 프로젝트(현대 국어 구어 전사 말뭉치 구축) 작업 중에서, 특히 1차 전사된 reference(자료)를 교정하는 가운데 드러난 띄어쓰기의 문제가 되는 reference(자료)를 정리(整理) 하여, 그 올바른 띄어쓰기 기준을 제시하는 데 있다
2. 말뭉치 reference(자료)와 띄어쓰…(drop)
설명
Download : 말뭉치에서의 띄어쓰기.hwp( 31 )
말뭉치에서의띄어쓰기에대하여
말뭉치에서의 띄어쓰기에 대한 보고서입니다. 이 경우 전사자의 표기 습관에 의해 말뭉치 표기가 결정되므로, 일관성 있는 reference(자료)의 획득을 위해서는 표기 원칙의 통일이 필요하게 된다 특히 맞춤법의 문제 중에서도 띄어쓰기가 가장 문제가 된다
우리말의 띄어쓰기 규정에는 원칙과 허용이 동시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계량 단위로써의 reference(자료)를 얻기 위해서는 전사 전에 그 원칙을 꼼꼼하게 규정해 두거나, 작업 후 후처리 과정을 거쳐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후자는 역시 소모적인 일이 될 수 있으므로, 전사 원칙에서 띄어쓰기 방법을 강구하고자 한다.






말뭉치에서의 띄어쓰기에 대한 보고서입니다.말뭉치에서의띄어쓰기에대하여 , 말뭉치에서의 띄어쓰기인문사회레포트 ,
다. 입말뭉치는 원reference(자료)가 텍스트가 아닌, 발화를 담은 비디오 테잎이나 오디오 테잎이므로, 원reference(자료)의 글자 표기가 존재하지 않는다. 글말의 경우 원문의 표기에 따라 말뭉치 reference(자료)가 구축되는 데 비해, 입말뭉치는 그 문제가 조금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