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목표와 수행목표의 진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0 18:55본문
Download : 교수목표와 수행목표의 진술(2).hwp
타일러의 진술에 따르면 수업目標(목표)는 명세적으로 명확하게 진술되어야 하며 이는 학…(省略)
교수목표와 수행목표의 진술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교수목표와,수행목표,진술,사범교육,레포트
순서
설명
교수목표와 수행목표의 진술
교수목표와 수행목표의 진술 , 교수목표와 수행목표의 진술사범교육레포트 , 교수목표와 수행목표 진술
Download : 교수목표와 수행목표의 진술(2).hwp( 69 )
레포트/사범교육
다. 수행目標(목표)는 수업의 결과 학생들이 하게 될 행동을 규정한다.
교수目標(목표)와 수행目標(목표)의 진술
1. 교수目標(목표)에 상대하여
2. 수행目標(목표)에 상대하여
3. 타일러의 행동目標(목표) 진술원리
4. 명세적 수업目標(목표)진술에 대한 장단점
1. 교수目標(목표)에 상대하여
교수目標(목표)는 해당 단원의 전체적인 目標(목표)에 해당하며 이러한 교수目標(목표)는 여러 개의 수행目標(목표)를 포함한다. 보통 교수目標(목표)는 일반적 수업目標(목표)로 정의(定義)될 수 있으며, ‘안다’, ‘이해한다’, ‘파악한다’와 같은 추상적이고 암시적인 동사로 표현된다 이러한 교수目標(목표)는 학습자의 구체적인 행동을 제시해주지 못하기 때문에 모호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즉, 한 시간의 수업이 끝났을 때 학생들이 하게 될 행동의 change(변화)를 진술한 것으로 나타낼 수 있다아 이러한 수행目標(목표)는 ‘정의(定義)한다’, ‘구별한다’, ‘계산한다’ 등과 같은 구체적인 행위동사로 표현된다 수행目標(목표)는 크게 내용적 目標(목표)와 과정적 目標(목표)로 나뉠 수 있는데 내용적 目標(목표)란 그 교과가 누적해 놓은 유용한 지식을 획득하는 것을 의미하고 과정적 目標(목표)란 사실, 개념(槪念), 원리, 법칙 등을 활용함으로써 이러한 지식들을 획득하는 방법을 익히기 위한 目標(목표)이다. 즉, 수업이 끝난 후, 학생들이 보일 행동을 행위동사를 사용하여 진술한 것이다.
2. 수행目標(목표)에 상대하여
수행目標(목표)는 교수目標(목표)의 하위 단위의 目標(목표)로 가장 구체적인 수준을 나타내는 目標(목표)라고 할 수 있다아 이러한 수행目標(목표)는 행동目標(목표) 또는 성취目標(목표)라고도 한다. 즉, 한 시간의 수업이 끝났을 때 학생...
교수目標(목표)와 수행目標(목표)의 진술
1. 교수目標(목표)에 상대하여
2. 수행目標(목표)에 상대하여
3. 타일러의 행동目標(목표) 진술원리
4. 명세적 수업目標(목표)진술에 대한 장단점
1. 교수目標(목표)에 상대하여
교수目標(목표)는 해당 단원의 전체적인 目標(목표)에 해당하며 이러한 교수目標(목표)는 여러 개의 수행目標(목표)를 포함한다. 하지만, 이러한 교수目標(목표)는 학생들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해준다는 의미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보통 교수目標(목표)는 일반적 수업目標(목표)로 정의(定義)될 수 있으며, ‘안다’, ‘이해한다’, ‘파악한다’와 같은 추상적이고 암시적인 동사로 표현된다 이러한 교수目標(목표)는 학습자의 구체적인 행동을 제시해주지 못하기 때문에 모호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2. 수행目標(목표)에 상대하여
수행目標(목표)는 교수目標(목표)의 하위 단위의 目標(목표)로 가장 구체적인 수준을 나타내는 目標(목표)라고 할 수 있다아 이러한 수행目標(목표)는 행동目標(목표) 또는 성취目標(목표)라고도 한다. 수행目標(목표)는 수업의 결과 학생들이 하게 될 행동을 규정한다. 하지만, 이러한 교수目標(목표)는 학생들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해준다는 의미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수행目標(목표)는 명세적 수업目標(목표)라고도 불리며 학생의 도착점 행동으로 진술된다 또한 여기서 도착점 행동은 구체적인 행위동사를 사용함으로써 표현되며 하나의 目標(목표)에는 하나의 행동만을 포함한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아
3. 타일러의 행동目標(목표) 진술원리
타일러는 명세적 수업目標(목표)로써 학습내용과 학생의 도착점행동을 진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