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co.kr 한국 교육의 현실과 Task > eaea2 | ea.co.kr report

한국 교육의 현실과 Task > eaea2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eaea2

한국 교육의 현실과 Task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9 19:41

본문




Download : 한국 교육의 현실과 과제.hwp




Download : 한국 교육의 현실과 과제.hwp( 20 )





■ 사교육은 융성하고 있다아
• 사교육은 얼마나 많이 받고있나
∘한국소비자보호원(1997) 조사자료(資料)에 의하면 학습지 구독이나 방과후 보충수업을 포함한 광의의 사교육을 받는 학생의 비율은 초등교 85.5%, 중학교 80.2%, 고교(재수생 포함) 78.5%로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과외를 일상화하고 있다아 비슷한 시기에 상이한 표본으로 교외 과외 실태(實態)를 조사한 윤정일 외(1997)에 따르면, `교외` 과외를 받는 학생은 초등학생의 70%, 중등학생(단, 중학생과 인문계 고교생)의 50%이며, 학교성적이 높을수록 과외를 더 많이 받고 있다아 4) 그리고, 한국소비자보호원(1997)이 추정한 96년도 과외비(교내 보충수업비 포함) 총액은 13.4조원으로서 총공교육비 22.7조원의 59%, 국내총생산 389.8조원의 약 3.5%에 해당한다.
• 왜 이 정도로 많은 학생들이 과외를 받는가?
∘한국소비자보호원(1997)이 과외를 시키는 가구들에게 이유를 10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물은 결과, 진학 관련 사항이 61.7%(학교수업 불충분=16.6%, 남보다 앞서려고=11.7%, 상급학교 진학대비=14.2%, 안 하면 불안=9.2%)로서 압도적이며, 그 외 재능개발이 18.3%, 보습이 15.7%(학교수업을 따라가지 못해=2.8%, 혼자서 공부 못해=10.1% 등)이다. 또한, 임연기(1998)가 과외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학부모(및 고교생)들이 생각하는 과외수업의 이유는 `학교보다 고수준의 공부를 위해서` 14.4(11.0)%, `남이 하니까 불안해서` 23.0(16.9)% 등 보습이 39.3(33.4)%, 진학이 37.4(27.9)%, `학교에서 다루지 않는 내용 및 기능 습득`이 22.3(26.4)%이다. 또한, 한국소비자보호원(1997) 자료(資料)에 따르면 학원강사의 강의가 학교교사의 강의보다 이해하기 쉽다는 응답이 고교생은 63.8%, 중학생은 54.1%이며,…(skip)
한국%20교육의%20현실과%20과제_hwp_01.gif 한국%20교육의%20현실과%20과제_hwp_02.gif 한국%20교육의%20현실과%20과제_hwp_03.gif 한국%20교육의%20현실과%20과제_hwp_04.gif 한국%20교육의%20현실과%20과제_hwp_05.gif 한국%20교육의%20현실과%20과제_hwp_06.gif
12777 , 한국 교육의 현실과 과제사범교육레포트 ,

한국 교육의 현실과 Task





순서


12777


설명


레포트/사범교육



,사범교육,레포트
다.
전체 40,107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ea.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