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0-22 21:03
본문
Download :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hwp
가. 인사
승진은 하위직에서 상위직으로 올라감을 말하며 또 승진은 상위직에 결원이 있을 때와 공개시험과 복잡한 절차를 밟으면서 이루어지면 또 책임의 증대를 수반한다. 즉, 승진이란 직위분류제에 있어서는 하위직급에서 상위직급으로 종적·수직적 이동을 말한다 지방공무원임용령, (대통령령 제18584호, 2004.11.11.).
전보란 동일한 직급에 속하는 어느 한 직위에서 다른 직위로 수평적 이동을 하는 것을 말한다. 정기적으로 전보를 실시하는 이유는 동일 직위의 장기근무로 인한 沈滯를 방지하고, 과다 빈번한 전보로 인한 능률저하를 방지하는데 있다아
신분보장이란 법률이 정한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공무원이 자기의 의사에 반하는 신분상의 불이익처분을 받지 않도록 하는 제도를 말하며, 실적주의를 기반으로 하여 공무원의 신분보장 및 권익보호는 어디까지나 모든 공무원의 사기를 높여 근무의욕을 고취시킴으로써 국민에 대한 보다 능률적·민주적인 봉사를 하게 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이다.
교육행정직 공무원들의 직문만족도를 분석하고 만족도 증진방안(方案)을 모색한 리포트입니다. 교육행정직공무원의직무만족에대한연구 ,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법학행정레포트 ,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레포트/법학행정
교육행정직공무원의직무만족에대한연구
Download :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hwp( 50 )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설명






교육행정직,공무원의,직무만족에,관한,연구,법학행정,레포트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必要性) 1
2. 연구의 목적 1
3. 연구의 방법과 범위 2
Ⅱ. 직무만족의 theory(이론)적 배경 2
1. 직무만족의 槪念 2
2. 직무만족의 중요성 3
3. 직무만족에 대한 주요theory(이론) 4
Ⅲ.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property(특성) 10
1. 교육행정의(定義) 槪念 11
2. 교육행정직 공무원과 학교조직의 property(특성) 12
Ⅳ. 경기도 및 충청북도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직무만족도 analysis(분석) 13
1. 제도적 측면의 직무만족 13
2. 형태적 측면의 직무만족
Ⅳ. 경기도 및 충청북도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직무만족도 analysis(분석)
1. 제도적 측면의 직무만족
제도적 측면에서의 직무만족으로는 승진 및 전보 등 인사, 보수의 적정성, 신분의 보장 및 정년제도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본 경기도 교육행정직 공무원 최효송, “교육행정공무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실증적 연구”,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9. 논문의 설문내용을 재구성하여 analysis(분석) 함.과 충청북도 교육행정공무원 문승호, “교육행정직공무원의 직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논문의 설문내용을 재구성하여 analysis(분석) 함.의 직무만족 정도는 다음([표 1] 및 [표 2] 참고)과 같다.
1) 승진기회 및 가능성에 대한 직무만족 實態…(투비컨티뉴드 )
다.
순서
교육행정직 공무원들의 직문만족도를 분석하고 만족도 증진방안을 모색한 리포트입니다. 즉, 동일한 직급·직류·직렬 내에서 직위만 변동하는 보직변동이기 때문에 시험을 거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동일한 직급 내에서 호봉만 올라가는 승급과 구별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