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은 신앙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5 05:16본문
Download : 사은 신앙에 .hwp
사은 신앙에 관한 연구
순서
사은신앙 원불교 일원상
설명
다. 사은 사상에 대해 그동안 연구들이 있어 왔지만, 본 논문에서는 소태산 대종사의 사은 사상을 해석적으로 설명(說明)하기 보다는 현대 과학에서 밝혀진 theory 들과 발견들을 외삽하여 사은 신앙 설명(說明)을 시도해 보기로 한다.
Ⅲ. 맺는 말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Ⅱ. 원불교 신앙론
Download : 사은 신앙에 .hwp( 70 )
사은신앙 원불교 일원상 / (사회신앙)
사은신앙 원불교 일원상 / (사회신앙)





2. 사은 신앙
Ⅰ. 머리말
필자는 일원상 진리의 신앙에 관한 연구를 발표한 적이 있다아 연구는 우주 만유의 본원으로써의 일원상, 자성불로서의 일원상, 없는 자리로서의 일원상, 있는 자리로서의 일원상, 그리고 진리 불공과 당처 불공의 대상으로서의 일원상 신앙게 관한 아이디어들을 기술하고 있다아 이렇게 일원상 진리 신앙을 열거해 본 것은 상이한 신앙 방법들을 제시한 것이 아니라 일원상 진리 신앙의 여러 측면들을 설명(說明)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래서 진공묘유의 조화와 공적 영지의 광명이 나타난 현상은 그 자체 진리의 모습이라는 것이 일원상장의 기본 요지로 파악된다된다. 이러한 시도는 때론 매우 위
1. 일원상 진리의 신앙
{정전}의 일원상 진리편은 소태산 대종사가 대각하신 내용을 압축하여 설명(說明)한 것으로서, 일원상을 신앙의 대상과 수행의 표준으로 어떻게 삼을 것인가 하는 내용들을 포함하고 있다아 일원은 우주 만유의 본원이며, 제불제성의 심인이며, 일체 중생의 본성으로 분별 주착과 생멸 거래가 없는 자리임과 동시에 공적영지의 광명과 진공묘유의 조화를 따라 온갖 差別(차별) 상들이 전개되는 진리의 있는 자리를 상징한 것으로 볼 수 있다아 그런데 여기서 [없는 자리]와 [있는 자리]를 구별한 것은 analysis(분석) 적 이해를 돕기 위한 대비일 뿐 내용상의 구별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아 즉, 이러한 구별은 불변하는 것은 진리요 변하는 것은 현상이고, 없는 것은 진리요 나타난 것은 현상이라는 이분법적인 구조의 논리가 아니라 진리 그 자체를 analysis(분석) 적으로 표현한 것일 뿐이다. 변과 불변, 나타난 것과 나타나지 않은 것은 둘이 아닌 진리 그 자체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아 우리의 분별적 의식 구조에서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說明)한 것일 뿐이다. 본 논문에서는 일원상 진리의 신앙은 무엇을 의미하는가를 먼저 간략하게 살펴 본 다음 사은 신앙에 대해 논의해 보기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