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2.0시대, 집단지성과 크라우드 소싱와 포스트 미디어를 지향하는 커런트 TV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03 00:14본문
Download : 미디어 20시대, 집단지성과 크라우드 소싱와 포스트 미디어를 지향하는 커런트 TV.hwp
대신 그 불완전한 자리를
진정성이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더 많은 감동을 준다. `블로그는 불완전한 것이 미학이다. ` 블로
그는 전문가 못지않은 콘텐츠를 생산해 내기도 하지만, 개인 미디어의
한계에 따라 많은 허점을 노출하기도 한다.
순서
미디어 2.0시대, 집단지성과 크라우드 소싱와 포스트 미디어를 지향하는 커런트 TV
Ⅰ. 미디어 1.0과 미디어 2.0의 속성
Ⅱ. 집단지성은 미디어 2.0의 출발점
Ⅲ. 포스트 미디어를 지향하는 커런트 TV
*bibliography
I. 집단지성은 미디어 2.0의 출발점
크리스 앤더슨은 말한다. 그러므로 지식과 정보…(省略)
설명
미디어2.0시대,집단지성과크라우드소싱와포스트미디어를지향하는커런트TV , 미디어 2.0시대, 집단지성과 크라우드 소싱와 포스트 미디어를 지향하는 커런트 TV인문사회레포트 ,
미디어2.0시대,집단지성과크라우드소싱와포스트미디어를지향하는커런트TV






Download : 미디어 20시대, 집단지성과 크라우드 소싱와 포스트 미디어를 지향하는 커런트 TV.hwp( 52 )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다. 우리
가 주목해야 할 것은 블로그의 불완전한 내용들을 외부의 수많은 사람
들이 참여해 이를 수정 ·보완해 완성시키는 집단지성의 힘이다. 집단지
성에서는 `나자신`이 아니라 `우리`와 `우리의 평가`가중요하다.
2001년 처음 개설된 on-line 백과사전 위키피디아Wikipedia는 전 세계
250여 개 언어로 제공되고 있다아 영어판 위키피디아는 무려 260만 개
가 넘는 항목을 보유하고 있고 한국어판 위키피디아는 8만여 개의 항
목을 갖고 있다아 위키피디아 사이트는 오픈소스를 기반으로 운영된다
따라서 누구나 자유롭게 글을 올리고 추가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아 일반
사용자들이 올린 수많은 불완전한 정보들 위에 또 다른 사용자들의 의
견과 동의, 심사과정 등을 거쳐 신뢰성 있는 백과사전을 완성해 나가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