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제의 도입과 취업규칙변경에 대하여 - 연봉제의 도입과 취업규칙 변경에 대한 법적 검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3 13:44
본문
Download : 연봉제의도입과취업규칙변경에대하여.hwp
이에 따라 사용자가 근로조건 및 경영규칙 등을 획일적ㆍ통일적으로 규정한 것이 바로 취업규칙이다.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연봉제의 도입과 취업규칙변경에 대하여
Download : 연봉제의도입과취업규칙변경에대하여.hwp( 48 )
연봉제의 도입과 취업규칙변경에 대하여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취업규칙은 규정, 사규, 사칙 또는 복무규정 등 다양한 명칭으로 일컬어지고 있으나, 그 명칭에는 구애되지 아니한다. 다수의 근로자를 사용하고 있는 사업장에서 근로자에게 적용되는 근로조건이 근로자마다 각각 다른 경우 경영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없다. , 연봉제의 도입과 취업규칙변경에 대하여 - 연봉제의 도입과 취업규칙 변경에 대한 법적 검토인문사회레포트 , 연봉제 도입과 취업규칙변경 대하여
연봉제의 도입과 취업규칙 변경에 대한 법적 검토
Ⅰ. 취업규칙의 의의
사업장에서 근로자에게 적용되는 근로조건 또는 당사자가 준수하여야 할 경영규범에 관하여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정한 통일적이고 획일적인 규칙을 총칭하여 명칭 등에 상관없이 취업규칙이라고 한다.
연봉제의 도입과 취업규칙변경에 대하여 - 연봉제의 도입과 취업규칙 변경에 대한 법적 검토
연봉제,도입과,취업규칙변경,대하여,인문사회,레포트
순서
- preview를 참고 바랍니다.2)
Ⅱ. 취업규칙의 작성ㆍ기재
근로기준법 제96조는 상시 10인 이상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취업규칙을 작성하여 노동부장관에게 신고하도록 규정하고 있다아 또한 동 조항은, 취업규칙에 의무적으로 기재되어야 할 사항으로, (1) 시업ㆍ종업의 시각, 휴게시간, 휴일, 휴가와 교대근로에 관한 사항, (2) 임금의 결정ㆍ계산ㆍ지급방법, 임금의 산정기간ㆍ지급시기 및 승급에 관한 사항, (3) 가족수당의 계산ㆍ지급방법에 관한 사항, (4) 퇴직에 관한 사항, (5) 퇴직금, 상여 및 최저임금에 관한 사항, (6) 근로자의 식비, 작업용품 등 부담에 관한 사항, (7) 근로자를 위한 교육시설에 관한 사항, (8) 안전과 보건에 관한 사항, (9) 업무상과 업…(drop)
다.1)한편, 취업규칙 이외에도 단체협약 역시 노사간의 근로관계를 규율하고 있다아 그러나 노동조합이 결성되어 있지 아니한 사업장의 경우 단체협약이 없으므로 취업규칙은 노사관계를 규율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아
취업규칙은 원래는 단순한 사회규범에 불과하지만 국가가 사용자의 지배력을 억지하고 근로자를 보호가기 위하여 근로기준법 제100조를 통하여 법규범적 효력을 가지는 취업규칙 제정권한을 수권한 것이고 이 수권에 근거하여 취업규칙은 근로계약 당사자에 대한 구속력을 가지게 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