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의 목민심서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22 09:37
본문
Download : 목민.hwp
Ⅱ. 본론
설명
목민(牧民)은 백성을 다스린다는 뜻으로 부윤(府尹).목사(牧使).부사(府使).군수(郡守).현감(縣監).현령(縣令) 등 백성을 직접 다스리는 목민관을 일컫는 말이다. 지방의 수령관인 목민관이 고을을 다스리면서 삼가해야할 일과 행할 일들을 자세하게 적은 통치 지침을 밝히면서 관리들의 부정을 비판하는 내용이다. 목민심서는 정약용이 신유박해로 전라도 강진에서 19년간 귀양살이를 하고 있던 중 1818년에 완성된 것으로 저자가 학문적으로 가장 원숙해 가던 해 이루어진 그의 대표작이다.
Ⅰ. 머리글
Ⅲ. 결론
1. 목민심서의 주요내용
목민심서의주요내용 봉공의요약 율기 정약용의목민심서 목민심서 / (목민심서)
순서
목민심서의주요내용 봉공의요약 율기 정약용의목민심서 목민심서 / (목민심서)
Ⅰ. 머리글
목민심서의주요내용 봉공의요약 율기 정약용의목민심서 목민심서
정약용의 목민심서에 대하여
Download : 목민.hwp( 23 )
레포트 > 기타
2. 율기, 봉공의 요약
정약용(丁若鏞 : 1762-1836) 조선후기의 문신이자 실학자이다.
부임(赴任-임금에게 명을 받고 임지에 감). 율기(律己-몸과 마음을 스스로 관리. 단속함). 봉공(奉公-수령의 초보적인 복무규율). 애민(愛民-백성을 보살핌). 이전(吏典). 호전(戶典). 예전(禮典). 병전(兵典). 형전(刑典). 공전(工典). 진황(瞋荒). 해관(解官)의 12편으로 나누고, 각 편은 다시 6조로 나누어 모두 72조로 편기되어 있다아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