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co.kr 우리말 명칭어의 발달과정 > eaea4 | ea.co.kr report

우리말 명칭어의 발달과정 > eaea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eaea4

우리말 명칭어의 발달과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2 15:39

본문




Download : 우리말 명칭어의 발달과정.hwp




이것은 한반도에서 사용된 언어를 지칭한 명칭어 중 가장 오래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역시 『삼국사기』에 나오는 ‘加羅語’, ‘扶餘俗語’, ‘麗語’(고구려어)는 고대 국가의 이름을 빌려 당시의 백성들이 썼던 언어를 지칭한 것으로 이들은 모두 우리 민족어의 선대어이다. 오늘날 우리는 ‘국어’(國語)와 ‘한글’을 가장 널리 쓰고 있다 ‘국어’나 ‘한글’이 일반화된 것은 20세기에 들어와서의 일이다. 과거 우리 조상들이 지은 각종 문헌에는 우리말과 우리 문자를 가리킨 명칭어가 여러 가지로 나타난다.

1. 고대 시기의 國名 관련 명칭어
고대의 國名을 이용한 ‘辰言, 加羅語, 扶餘俗語, 麗語’와 같은 명칭어가 『삼국사기』 등의 사료에 보인다. ‘辰言’은 辰韓 사람들이 쓴 말을 가리키는 것이다. 따라서 한민족 전체의 언어를 통칭하는 명칭어가 만들어질 수 없는 상황이었다고 할 수 있다

2. 중국(China) 변방의 말이라는 뜻을 함축한 方言, 方音, 鄕言 등
중국(China)을 세계의 중심이라 생각하는 ‘중화사상…(省略)
우리말 명칭어의 발달과정


다.

레포트/인문사회



우리말명칭어의발달과정



Download : 우리말 명칭어의 발달과정.hwp( 97 )





순서



우리말 명칭어의 발달과정
,인문사회,레포트

우리말 명칭어의 발달과정우리말명칭어의발달과정 , 우리말 명칭어의 발달과정인문사회레포트 ,
우리말%20명칭어의%20발달과정_hwp_01.gif 우리말%20명칭어의%20발달과정_hwp_02.gif 우리말%20명칭어의%20발달과정_hwp_03.gif
설명

한국어와 한국의 문자를 지시하는 명칭어는 history(역사) 적으로 여러 가지로 쓰여 왔다. ‘민족’이라는 근대적 定義(정의) 이 형성되지 않은 시대였기에 오늘날 우리가 생각하는 韓민족(혹은 조선족)의 定義(정의) 이 형성되지 않았던 것이다.
전체 40,221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ea.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