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0 09:56본문
Download :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hwp
hwp( 98 )
악마,프라다를,입는다,감상서평,레포트
다. 그렇다면 그 안에는 당연히 심리적인 압박보다는 즐거움이 들어가 있어야 한다.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레포트/감상서평
순서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감상서평레포트 , 악마 프라다를 입는다
설명
report
영화를 보며 문화가 생활을 뛰어넘는 상황을 생각하게 된다 영화 중간 나오는 인물들 중 하나는 감량을 위해 치즈 한 장으로 연명하며 그것도 모자라 설사를 했으면 좋겠다는 이야기를 한다.(가령 뚱뚱한 이들을 자리관리의 실패자로 만드는 것이라거나 패션 감각이 뛰어나지 못한 이들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이 좋은 예이다) 현재 흐름을 주도하고 있는 문화 범주 속에서의 change(변화)와 특이함은 개성으로 인정되지만 그 범주에서 벗어난 개성은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 유행으로 대표되는 문화의 특성(特性)인 것은 아닐까
영화 속 메릴 스트립은 앤 헤서웨이에게 “모든 사람들은 우리처럼 화려하게 살고 싶어 한다. 문화라는 것은 일종의 유행인데 일률적인 유행은 개성을 인정하지 못하고 유행과 다른 방향으로 가는 이들을 낙오자로 만들어 버린다. 옷을 입고 밥을 먹는 것이 필수적인 성격이 강한 생활이라면, 옷을 잘 입는 것과 식사예절을 정확히 알고 지키는 것은 문화의 범주이다. 가령 과거 먹을 것이 없던 시절 살을 빼고자 하는 사람들은 손에 꼽았으나, 먹는 문제가 해결 된 현대사회에서 살을 빼는 것을 넘어 적정체중 이하로의 여정을 하고 있는 이들이 늘어나는 식이다. 영화 속 앤 헤서웨이도 그러했지만 나 역시도 이 意見에 동감할 수 없다. 그런데 현대사회에 있어서의 유행은 끊임없이 change(변화)하고 있으며 그 속도를 정확히 쫓아가는 것이 일반적인 사람들에게는 엄두도 못 낼 일이 되어버렸다.
문화는 여가시간을 이용한 즐거움이 그 출발이 되었다. 그런데 경제적인 상황이 호전되면서 기본적인 생활의 어려움이 사라지면 점차 문화가 각광받게 되고 결국 문화가 생활을 앞서는 상황이 되는 것이다.”고 이야기하며 자신들이 가진 문화적 우월성(영화 속에서는 패션)이 절대적인 가치임을 내세운다. 유행에 뒤처지면 흔한 대화조차도 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니 일정정도는 따라가야 하겠지만 그것에 매진해 …(To be continued )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Download :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이것은 일면 잔인한 측면을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