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자학과 양명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1 15:10
본문
Download : 주자학과 양명학.hwp
이에 반해 기질지성은 인간 형성에 관여하는 기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육체와 감각의 작용으로 나타나는 인간 본능을 의미한다.
주자학과 양명학에 대한 글입니다. 지행합일 (知行合一)
4) 조선의 양명학
Ⅲ. 주자학과 양명학의 비교
◉ 참고한 문헌
그후 남송의 주희(朱熹 : 1130~1200)에 의해 성리학의 집대성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성리학을 주자학(朱子學)이라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성리학의 세계관은 자연과 사회를 도덕적인 본성을 갖는 것으로 인식하고 그 속에 존재하는 사물들의 개별성을 긍정했다. 성즉리 (性卽理)
라. 격물치지
4) 성학 (聖學)
5) 한국 성리학의 전개
3. 양명학 (陽明學)
1) 양명학의 성립과 의미
2) 왕양명 (王陽明)
3) 양명학의 원리
가. 심즉리설 (心卽理)
나. 실사구시 (實事求是)
다. 기가 모이고 흩어지는 것에 의해 우주 만물이 생성되며, 그런 점에서 기는 만물을 구성하는 요소가 된다 그런데 기는 맑음과 흐림, 무거움과 가벼움 등에 따른 차이가 있으며, 따라서 기에 의해 구성되는 우주 만물은 차별성·등급성을 갖는다. 본연지성은 모든 인간의 마음 속에 본래 존재하고 있는 이로서, 도덕적 본성을 의미한다.
주희에 의해 집대성된 성리학은 자연과 사회의 발생·운동을 이(理)와 기(氣)의 개념(槪念)에 의해 說明(설명) 한다. 결국 자연·인간·사회가 모두 위계적 질서를 갖는 것이다.
Download : 주자학과 양명학.hwp( 42 )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주자학과 양명학
주자학과양명학및상호
목 차
Ⅰ. 서 언
Ⅱ. 주자학과 양명학
1. 주자학 (朱子學)
1) 성립과 의미
2) 주희(朱熹)
3) 주자학의 원리
가. 이기론 (理氣論)
나. 심성론 (心性論)
다. 송대 성리학의 성립에는 불교 철학이 많은 影響(영향)을 미쳤으나, 성리학의 세계관과 불교의 세계관은 근본적인 성격이 달랐다. 명대의 왕수인(王守仁 : 1472~1528)의 학문·사상, 즉 양명학까지 성리학에 포함시킬 수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주자학만을 성리학으로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기론에 바탕을 둔 인간 이해는 본연지성(本然之性)과 기질지성(氣質之性)의 개념(槪念)을 중심으로 하는 인성론으로 체계화되었다. 이 가운데 본연지성에 따른 행위는 선한 것이며, 기질지성에 따른 행위는 인욕에 의해 악으로 흐르…(투비컨티뉴드 )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다.주자학과양명학및상호 , 주자학과 양명학인문사회레포트 ,






주자학과 양명학에 대한 글입니다. 불교의 세계관에서 현실의 자연과 사회는 궁극적으로 부정되어야 할 가상에 불과한 것이었다. 이와 같이 만물의 존재 근거가 이라는 점에서, 그리고 만물에는 모두 이가 내재한다는 점에서 이의 개념(槪念)은 인간과 사물의 원리적 보편성을 說明(설명) 하는 범주이다. 한편 태극(太極), 즉 천리(天理)·이의 개념(槪念)은 만물 생성의 근원이 되는 정신적 실재로서 기의 존재 근거이며, 동시에 만물에 내재하는 원리로서 기의 운동법칙이 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