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치지도의 정확도 향상measure(방안)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7 17:53
본문
Download : b12.hwp
1) 개념(槪念) 및 definition
1) 일관성 규칙
7) 현지조사
8. 시변정확도
2) 의미정확도의 평가
3.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 배경 및 特性
2. 데이터의 이력
1) 개요
수치지도의정확도향상방안연구 수치지도 공간데이타 공간데이터 사진측량
국민들은 국가에서 제작된 수치지도의 품질에 대하여 검증할 능력을 가지고 있지 못하며, 또한 국가를 신뢰하고 아무런 의심 없이 사용할 것이 예상되는바 이를 바탕으로 응용된 제품 역시 부정확한 것이 될 것이다.
따라서 국가는 정확한 수치지도를 작성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작성된 수치지도의 품질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각자의 응용분야에 적합하게 수치지도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수치지도의 품질에 대한 정밀한 고찰이 필요하다.
2. 일본
3. 영국
4) 속성정확도
제 6 장 결 론
Download : b12.hwp( 50 )
1) 이력
4) 지도데이터 입력
제 1 장 서 론
1) 개념(槪念) 및 definition
6) 수치지도관리대장의 작성 및 점검
7) OS93데이터의 정기갱신을 위한 품질 허용기준
3. 각국의 품질기준
제 4 장 각국의 수치지도 품질기준
수치지도 제작회사는 국가에서 정한 규정에 의하여 최소의 비용으로 수치지도를 제작하여 국가에 납품하려고 할 것이기 때문에 수치지도 제작 방법 및 작성 기준에 대한 정밀한 고찰이 필요하다.
순서
6. 론리적 일관성
6) 위상 및 련결성
2) 항공사진 촬영
1. 개요
2) 불확정성의 척도
Egenhofer, M.J. & Sharma, J., Assessing the Consistency of Complete and Incomplete Topological Information. Geographical System, Vol. 1, 1993 : 47-68
2. 硏究의 目的
수치지도의정확도향상방안연구 수치지도 공간데이타 공간데이터 사진측량 / ASP. The Committee for Specifications and Standards, 1985, Accuracy Specification for large Scale line Maps.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Vol. 51, No. 2, 1985 : 195-199 ASPRS, ASPRS Interim Accuracy Standard for Large Scale Maps.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Vol. 55, No. 7, 1989 : 1038-1040 Date, C.J., An Introduction to Data Base Systems. Vol. II. : Addison-Wesley. 1985 Defense Mapping Agency, Digital Geographic Information Exchange Standard(DIGEST), Digital Geographic Information Working Group, 1991 Egenhofer, M.J. & Sharma, J., Assessing the Consistency of Complete and Incomplete Topological Information. Geographical System, Vol. 1, 1993 : 47-68 Guptill, S.C. & Morrison, J.L., Elements of Spatial Data Quality. Pergamon, 1995 He, P. and Nag, S., Quality Control: Prinples and Methods. Annual Conference Proceedings, Urban & Regional Information Syste
3. 위치정확도
3) 기성도의 수치화
3) 완결성의 평가
4) 기존성과 인수 및 分析(분석)
제 2 장 공간데이터의 품질요소
2) 위치정확도의 통계적 측정(measurement)방법
설명
1. 한국
2) 資料 완결성의 형태
3) 시변처리방법
2) 데이터의 이력 요소
2) SDTS
4. 품질보고서
1. 연구의 necessity
1) 개념(槪念) 및 definition
2) 사용장비
5) 지상기준점 측량
수치지도의 정확도 향상measure(방안) 연구
4) 결함이 있는 資料의 처리
4. 미국





1. 공간데이터 품질의 적정성
참 고 문 헌
ABSTRACT 현재 우리 나라는 국가차원에서 많은 예산을 투입, 국가기본도의 수치지도를 작성하고 있다 그러나 수치지도의 정확도가 사용자의 요구수준에 미치지 못할 경우, 이는 무용지물이 될 것이며 막대한 국가예산을 낭비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이는 그 자체만으로도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가져옴은 물론이고 잘못된 판단을 사용자가 내리게 함으로써 제2, 제3의 손실을 가져오게 될 것이다. 2) 시변정보의 상호작용
7) 수치지도작성 작업 내규
2) 일관성 검사
Guptill, S.C. & Morrison, J.L., Elements of Spatial Data Quality. Pergamon, 1995
2. 사진측량에 의한 수치지도의 작성
1) 개념(槪念) 및 definition
2. 연구의 목적
1) 촬영계획
6) 수치도화
1) 개요
5. 완결성
5) 정위치 편집 및 구조화 편집
He, P. and Nag, S., Quality Control: Prinples and Methods. Annual Conference Proceedings, Urban & Regional Information Syste
Date, C.J., An Introduction to Data Base Systems. Vol. II. : Addison-Wesley. 1985
본 연구는 현재 국가에서 작성하고 있는 수치지도의 품질 향상 방안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재 국가에서 제작하고 있는 수치지도의 제작 방법 및 품질에 대한 기준을 살펴봄으로써 좀더 신뢰할 수 있는 수치지도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할 예정이다.
4. 속성정확도
1) 개념(槪念) 및 definition
3) 사진제작
1. 개요
수치지도의정확도향상measure(방안) 연구 수치지도 공간데이타 공간데이터 사진측량 /
Defense Mapping Agency, Digital Geographic Information Exchange Standard(DIGEST), Digital Geographic Information Working Group, 1991
제 3 장 수치지도의 제작방법
제 5 장 고찰 및 제언
5) 론리적 일관성
8) 지도편집
7. 의미정확도
2) 디지털 매핑
3) 위치정확도
2. 수치지도 작성
레포트 > 기타
3. 기존지도로부터 수치지도의 작성
ASPRS, ASPRS Interim Accuracy Standard for Large Scale Maps.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Vol. 55, No. 7, 1989 : 1038-1040
8) 국립지리원 검사기준
9) 검수
2) 시변성
3) 도화
1) 개념(槪念) 및 definition
ASP. The Committee for Specifications and Standards, 1985, Accuracy Specification for large Scale line Maps.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Vol. 51, No. 2, 1985 : 195-199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