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차 교육과정에 대한 헤게모니적 해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7 23:21
본문
Download : 7차 교육과정에 대한 헤게모니적 해석.doc
(선택형 시범학교로 지정되었던 공주고의 경우 10학년 11과목, 11학년 13과목, 12학년 11과목을 이수하도록 했습니다. 槪念 상으로는 한 학생이 과목별로 각기 다른 학년의 과정을 학습할 수 있어야 하지만, 현실 여건 상 우수 학생의 속진은 추후 project로 하고, 열등학생의 유급(‘재이수형’) 역시 심각한 문제를 낳는 것으로 시범학교(부산 신도중)에서 판명되어 방과 후 또는 방학 중 ‘특별보충반’을 운영하며, 그들이 진정 추구하는 수월성은 우열반으로 구체화된다 결과적으로 현실에서 그들의 모습은 우등반과 열등반으로 양분화되어 학생들끼리 단절되고 위화감이 조성되고 그런 불이익 속에서도 더 나은 학습효과(效果)가 없다는 것이 문제이다.
설명
,사범교육,레포트
5. 7차 교육과정에 대한 problem(문제점)
오늘날 7차 교육과정은 위의 총론에서 언급하듯이 매우 자유롭고 평등하며 세계화 시대에 알맞은 인간상을 목표(目標)로 지배층의 논리보단 개개인의 능력과 성장을 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7차 교육과정 역시 앞서 언급한 학교 교육의 한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7차 교육과정은 학습자를 중시한다고 말한다. 나머지 80%는 그들을 위해서 존재하는 것이다.
필수과목의 축소란 측면도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는 과목수는 6차에 비해 19과목이 늘어났고, 이수해야할 과목수 또한 6차에 비해 학년별로 2~3과목씩 늘어났습니다. 이것은 오늘날 학교 교육은 20%의 엘리트를 위한 교육일 뿐이다. 그래서 학습자 스스로 맞춤 교육을 할 수 있도록 수준화 중심 교육을 할 수 있다고 말한다. 낙오된 80%는 그 속에서 또 다른 경쟁과 욕망을 성취하기 위해서 발버둥친다.)
선택 중심 교육과정도 실제 적용에 있어서 槪念 상 수준별 교육과 수요자 중심 교육이 완벽하게 구현되는 과정이고 마치 대학교처럼 수강 신청하여 운영하겠다는 것이지만, 현실 여건 상 학생들의 선택 폭은 극히 제한적이고(당분간 교사의 충원은 없으며, 형식상 학생의 선택은 28~64단위, 실제…(省略)
7차교육과정에대한헤게모니적해석
7차 교육과정에 대한 헤게모니적 해석에 대한 글입니다. 이는 학습량과 수준을 30% 줄인다는 7차의 기본 취지와도 어긋납니다.






순서
Download : 7차 교육과정에 대한 헤게모니적 해석.doc( 59 )
레포트/사범교육
7차 교육과정에 대한 헤게모니적 해석
7차 교육과정에 대한 헤게모니적 해석에 대한 글입니다.7차교육과정에대한헤게모니적해석 , 7차 교육과정에 대한 헤게모니적 해석사범교육레포트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