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평준화의 도입과 평등주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8 22:22본문
Download : 고등학교 평준화의 도입과 평등주의.hwp
... , 고등학교 평준화의 도입과 평등주의경영경제레포트 ,
다. 또한 8학군의 고등학생들의 성적이 타학군에 비해 좋은 것은 그 지역의 중학생들의 성적이 다른 지역에 비해 우수하기 때문일 수도 있따 그러나 이 글에서 초점을 두는 것은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성적의 연관성이라기보다는 처음 성적차(물론 개인에게 의미있는 교육적 경험의 결과와 성적이 동일하다는 것은 아닌것이다 )를 발생시키는 요인을…(drop)
Download : 고등학교 평준화의 도입과 평등주의.hwp( 15 )
3. 학군간 불평등 문제고등학교의 경우 현재 상황이 많이 변화한 것은 사실이지만, 중학교 입시에서도 학군별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고등학교 평준화의 도입과 평등주의






고등학교의 경우 현재 상황이 많이 change(변화)한 것은 사실이지만, 중학교 입시에서도 학군별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아...
,경영경제,레포트
3. 학군간 불평등 문제
순서
레포트/경영경제
설명
3. 학군간 불평등 문제
고등학교의 경우 현재 상황이 많이 變化한 것은 사실이지만, 중학교 입시에서도 학군별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고 있따 조선일보에 의하면 96학년도 고입선발고사에서 1백80점 이상을 얻은 서울시 내 상위권 학생의 31%가 소위 강남 8학군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선일보, 1996. 1. 30일, “고입선발 상위권 30%가 8학군”, 고등학교 평준화는 교육조건의 평준화도 중요하지만, 또래 집단의 교육적 influence력이 어떤 교육조건 변인에 못지 않게 중요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고등학교 평준화는 학생이 평준화되었을 때 비로소 완성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따 그러나 1995년 서울지역의 연합고사 결과는 또래 집단의 교육적 influence력 또한 불균등의 한 요인이 된다고 할 수 있따 박부권, 이지혜, Ibid., p.19.
이러한 차이가 개개인의 학력 차에서 비롯된 우연이 아니라 지역적인 차이점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은 지역별로 학력 차에 influence을 주는 외부적인 요인이 있다는 것을 어렵지 않게 추리할 수 있따 학력의 지역차에 influence을 주는 외부적 요인이 경제력의 차이만은 아닐 것이다. 30일 서울시 교육청에 따르면 지난해 고입선발고사 2백 점 중 강남 8학군(강동, 송파, 강남, 서초 일부) 학생이 5천5백77명으로 전체의 31.1%를 차지했으며, 7학군(영등포, 구로, 금천, 양천, 강서)이 3천3백55명, 2학군(중랑, 노원, 동대문)이 1천9백33명 순 이었다. 또한 이번에 시험을 치른 학생 가운데 1백 80점 이상을 획득한 학생이 각 학군 내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8학군이 2만9천5백25명 가운데 18.9%로 가장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