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工學] 교수설계의 실제- ASSURE 모델 적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08 22:51본문
Download : [교육공학] 교수설계의 실제- ASSURE 모델 적용.hwp
ASSURE모델의 이해 : 학습자 analysis
☆ 연령, 학년, 직업이나 지위, culture적 사회경제적 요인 → 학습자가 어떤 애들인가? 종류는 어떤가? 등등.
☆ 학습환경을 지각하고, 상호작용하고, 정서적으로 reaction(반응) → 어떤 부분에 동기를 주면 좋아하고 잘 reaction(반응)하는가?
4쪽
[교육工學] 교수설계의 실제- ASSURE 모델 적용
ASSURE Model
[교육工學] 교수설계의 실제- ASSURE 모델 적용
★ 학습양식 analysis
ASSURE모델의 이해 : 매체와 data(자료)의 활용
★ 출발점 능력 analysis
![[교육공학] 교수설계의 실제- ASSURE 모델 적용-3215_01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706/%5B%EA%B5%90%EC%9C%A1%EA%B3%B5%ED%95%99%5D%20%EA%B5%90%EC%88%98%EC%84%A4%EA%B3%84%EC%9D%98%20%EC%8B%A4%EC%A0%9C-%20ASSURE%20%EB%AA%A8%EB%8D%B8%20%EC%A0%81%EC%9A%A9-3215_01_.gif)
![[교육공학] 교수설계의 실제- ASSURE 모델 적용-3215_02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706/%5B%EA%B5%90%EC%9C%A1%EA%B3%B5%ED%95%99%5D%20%EA%B5%90%EC%88%98%EC%84%A4%EA%B3%84%EC%9D%98%20%EC%8B%A4%EC%A0%9C-%20ASSURE%20%EB%AA%A8%EB%8D%B8%20%EC%A0%81%EC%9A%A9-3215_02_.gif)
![[교육공학] 교수설계의 실제- ASSURE 모델 적용-3215_03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706/%5B%EA%B5%90%EC%9C%A1%EA%B3%B5%ED%95%99%5D%20%EA%B5%90%EC%88%98%EC%84%A4%EA%B3%84%EC%9D%98%20%EC%8B%A4%EC%A0%9C-%20ASSURE%20%EB%AA%A8%EB%8D%B8%20%EC%A0%81%EC%9A%A9-3215_03_.gif)
![[교육공학] 교수설계의 실제- ASSURE 모델 적용-3215_04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706/%5B%EA%B5%90%EC%9C%A1%EA%B3%B5%ED%95%99%5D%20%EA%B5%90%EC%88%98%EC%84%A4%EA%B3%84%EC%9D%98%20%EC%8B%A4%EC%A0%9C-%20ASSURE%20%EB%AA%A8%EB%8D%B8%20%EC%A0%81%EC%9A%A9-3215_04_.gif)
ASSURE모델의 이해 : 학습자 analysis
★ 일반적 특성 analysis
☆ Select Methods, Media, and Materials : 매체 선택
목차
ASSURE모델의 이해 : goal(목표) 진술
☆ Utilize Media and Materials : 매체 활용
☆ Analyze Learners : 학습자 analysis하기
Download : [교육공학] 교수설계의 실제- ASSURE 모델 적용.hwp( 14 )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 Require Learner Participation : 학습자 참여유도
ASSURE모델의 이해 : 교수-학습 방법
☆ State Objectives : goal(목표) 세우기
다.[교육공학] 교수설계의 실제- ASSURE 모델 적용
ASSURE Model
ASSURE모델의 이해 : 학습자 참여유도
설명
[교육공학] 교수설계의 실제- ASSURE 모델 적용
☆ Evaluate and Revise : 평가
교수설계의 실제- ASSURE 모델 적용
순서
☆ 학습자가 이미 가지고 있거나 그렇지 못한 선수기능, goal(목표) 기능, 태도 등에 관한 analysis → 학습자들이 얼마나 알고 있는 상태인가?
☆ 지각적 선호와 강점 : 청각, 시각, 촉각, 근육운동 → 무슨 방식으로 해야 이해를 잘 하나? 노래하면 잘 알아듣는 애들, 써야 잘 알아듣는 애들, 들어야 잘 알아듣는 애들..어떤 방식으로 지각하면 더 잘 이해하는가, 학습자마다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