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 채권총칙 채권자취소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27 23:40본문
Download : 채권자취소권(완결본).hwp
(대법원 2001. 2. 9. 선고 2000다51797)
사해행위취소소송의 성질과 피고인 적격 (대판 1961.11.9, 4293민상263)
곽윤직, 김형배, 이은영 채권총론서 등이 주요 출전도서입니다. 민법에서 매우 중요한 논점인 채권자취소권에 관하여 법리와 해당판레를 일목요연하게 기술한 한글자료라고 생각됩니다. 목차를 확인하여주십시오. 감사합니다.
사해행위 당시 존재하던 가압류가 해제된 경우의 원상회복방법
다. 곽윤직, 김형배, 이은영 채권총론서 등이 주요 출전도서입니다.
①내용 ②drawback(걸점)
1)의의 2)상대적 무효설3)책임설
저당권부 채권을 피보전채권으로 하는 채권자취소권의 여부
채권자취소권에 관하여 매우 상세히 기술한 자료입니다.
(4)악의(주관적 요건)
약속어음의 발행
2)채권자를 해하는 법률행위
(2)피담보채권의 존재
1)채무자의 악의
수익자의 채권자로서의 지위(대법원 2003. 6.27. 선고 2003다15907)
(대법원 1995. 2.10, 94다2534 )
5)소권설
(대법원 1995. 7.25. 선고 95다8393 )(대법원 2006.12. 7. 선고 2006다43620)
(대법원 1995. 6.30. 선고 94다14582)
1)피담보채권의 발생시기
재산권을 목적으로 하는 행위
2)수익자 및 전득자의 악의
(대법원 2003. 7.11. 선고 2003다19435)
설명
악의의 입증책임(대법원 2006. 4.14. 선고 2006다5710)
변제
(1)의의
Ⅱ.본
(2)채권자취소권제도의 피료썽
사해행위취소판결의 기판력
.(대법원 2002.11. 8. 선고 2002다42100)
(3)현행민법하의 理論
약속어음의 발행
(대판 2005.3.24, 2004다65367)
피보전채권의 성립 여부에 대한 판단기준
[법] 채권총칙 채권자취소권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목차를 확인하여주십시오. 감사합니다.
사해행위취소의 상대효 (대법원 2004. 8.30. 선고 2004다21923)(대법원 2001. 5.29. 선고 99다9011)
♠채권차취소권의 행사를 부정
사해행위취소의 범위(대법원 1999. 9. 7. 선고 98다41490 )
3)책임설내용drawback(걸점)
(3)연혁
(대법원 2006. 2.10. 선고 2004다2564)
무자력의 판단기준으로서 소극재산과 적극재산의 범위
채무자가 경매 진행중인 부동산을 대금지급기일이 임박하여 최소한 경매보다는 나은 조건으로 처분한 경우, 채권자에 대한 사해행위를 인정한 원심판결을 파기한 경우
사해행위취소소송의 피고인적격 (대판1991. 8.13. 91다13717)
채권자취소권,책임재산보전,채권총론,채권총칙
(대법원 2002.10.25. 선고 2000다64441)
5.행사의 efficacy
Ⅲ.결
공동담보로서의 책임재산의 보전행위
상속재산의 분할협의가 사해행위에 해당할 수 있는지의 여부
부동산 기타 재산의 처분
1)재산권을 목적으로 하는 법률행위
특별한 사정이 긍정된다고 판시한 사례(instance)(대법원 2001. 5. 8. 선고 2000다50015)
(대판 1962. 2.15, 4294민상378)(대법원 1984.11.24, 84마610)
(대법원 2002.11. 8, 2002다42957)
3)재무자-수익자-전득자 사이의 관계
사해행위의 의미(대법원 2001.10.12. 선고 2001다32533)
3.채권자취소권의 요건
Download : 채권자취소권(완결본).hwp( 76 )
채무자의 악의추정(대법원 2003.12.12. 선고 2001다57884)
순서
2)피담보채권의 이행기
(대법원 2001. 9. 4. 선고 2000다66416 )(대법원 2003.12.12. 선고 2003다40286)
대물변제
취소채권자의 채권은 사해행위 이전에 발생하고 있어야 하는지 여부
(대법원 1988. 2.23, 87다카1989 )
(대법원 2002.11. 8. 선고 2002다41589)
채권자취소권행사의 방법(대법원 2004. 8.30. 선고 2004다21923)
물적담보의 제공(대법원 1997. 9. 9. 선고 97다10864)
인적부담의 부담
(대법원 1995. 6. 9. 선고 94다32580)
사해행위 수익자의 선의를 인정한 사례(instance)
1)취소권자2)상대방
채권자취소권의 행사와 상계의 주장
(3)사해행위(객관적 요건)
채무자가 채무초과 상태에서 채권자 중 1인과 통모하여 그에게 중요 재산을 현실로 매매대금을 한푼도 지급 받지 아니한 채 매도한 경우, 사해행위를 인정한 경우
(2)초기의 理論
(1)행사의 당사자
1.채권자취소권의 의의
6.채권자취소권의 소멸 제척기간의 기산점 (대법원 2005. 6. 9. 선고 2004다17535)
4.채권자취소권의 행사
대물변제를 한 경우의 사해행위의 여부(대법원 1996.10.29. 선고 96다23207)
1)부당이득설2)불법행위설3)채무불이행설4)법정채권설5)책임질서유지설 (책임재산유지설)
내용drawback(걸점)
특정채권을 보전하기 위한 채권자취소권 행사의 여부
(1)의의
사해행위로서의 통정허위표시(대법원 1984. 7.24. 선고 84다카68 )
(2)행사의 방법
사해행위의 수익자가 채무자와 일면식이 없이 이웃의 소개로 급히 금전이 필요한 채무자로부터 다소 저렴한 가격으로 토지를 매수하였을 뿐이어서 그 과정에서 단기간에 매매대금이 지급되고 그 직후 소유권이전등기가 경료되는 등 부동산거래관행과 다소 다르게 매매가 이루어진 사정이 있다고 하더라도 채무자로부터의 토지매수가 채권자를 해하는 사해행위임을 알지 못한 선의의 수익자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사례(instance).(대법원 2003. 3.25. 선고 2002다62036)
채권 성립의 기초가 되는 법률관계를 확장한 예
(대법원 1999. 4.27. 선고 98다56690)
3)사해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문제되는 경우
2)취소의 상대효
1)형성권설2)청구권설3)절충설(병합설)
(3)행사의 범위
법률행위
채권자취소권에 관하여 매우 상세히 기술한 자료(資料)입니다.
가등기가 경로된 경우의 사해행위의 성립범위
특정채권자에 대한 변제 또는 채권양도가 사해행위인지의 여부
(5)채권자취소권의 법적 근거
-5526_01_.gif)
-5526_02_.gif)
-5526_03_.gif)
-5526_04_.gif)
-5526_05_.gif)
사해행위판단의 시기(대법원 2001. 4.27. 선고 2000다69026)
(대법원 1999. 4.27. 선고 98다56690 )
(4)우리 민법의 규정
(대법원 2004. 5.28. 선고 2003다60822)
(대법원 2001. 4.24. 선고 2000다41874)
3)피담보채권의 대상
1)의의 2)상대적 무효설(다수설, 판례의 입장)
1)원칙
♠채권자취소권의 행사를 긍정
Ⅰ.서
(대법원 1997.10.10, 97다8687)
(대법원 2003. 2.11. 선고 2002다37474)
(1)의의
2.채권자 취소권의 법적 성질
1)재판상 행사2)채권자의 이름으로 행사
4)신형성권설(절대적 무효설)
민법에서 매우 중요한 논점인 채권자취소권에 관하여 법리와 해당판레를 일목요연하게 기술한 한글자료(資料)라고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