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의 통합프로그램 (또래관계 증진프로그램)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2-20 05:20
본문
Download :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의 통합프로그램 (또래관계 증진프로그램).hwp
이는 다시 비장애아동의 적절한 reaction(반응)을 강화시키므로, 장애인과 비장애인과의 긍정적 행동을 지속시킬 것이다. 이를 위해 ① 그 아동이 속한 일반학급에 개입하여 학급 내 관계망을 긍정적으로 變化(변화)시키며, ② 그 관계망을 촉진 및 유지하기 위해 학급 내 또래의 촉진자 소집…(To be continued )
Download :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의 통합프로그램 (또래관계 증진프로그램).hwp( 15 )
설명
장애아동과,비장애아동,통합프로그램,또래관계,증진프로그램,기타,레포트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의 통합프로그램 (또래관계 증진프로그램) ,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의 통합프로그램 (또래관계 증진프로그램)기타레포트 ,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 통합프로그램 또래관계 증진프로그램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의 통합프로그램 (또래관계 증진프로그램)
순서
레포트/기타
다.
하지만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집단 program’이 문제의 진정한 해결책이 될 수는 없다. 따라서 장애아동이 비장애아동과 물리적으로 같은 공간 안에 있다고 해서 문제가 자연스럽게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의 통합프로그램 (또래관계 증진프로그램)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의 통합program (또래관계 증진program)
Ⅰ. program 배경
예전보다 많은 학교에서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과의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장애아동에게 좋은 결과도 얻을 수 있지만 이 環境에서 장애아동이 겪는 어려움이 있다 그 중에 하나는 ‘또래와의 어울림’이다. 그것은 ‘집단program’이 특정한 관계나 치료집단 안에서 장애아동의 사회기술을 향상시킬 수는 있지만, 실제의 環境 곧 교실 안에서 그렇게 하기에는 어려움이 많기 때문일것이다 그러므로 아이들의 관계 속에서 문제를 보아야 할 것이다.
Ⅱ. 개요
(1) 목적
program은 초등학교의 일반학급에 통합된 장애아동 중 또래들로부터 거부 및 소외되거나 무시당하는 아동에게 학급 내 또래들과의 관계를 증진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 학교영역의 문제를 改善(개선) 하기 위해서는 ‘아동집단program’과 ‘부모상담’ ’또래집단program‘실시 등이 필요하다.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문제 영역으로 학교영역의 문제이다. 곧 장애로 인해 초래되는 관계형성의 어려움을 비장애아동이 어떻게 수용하고 reaction(반응)하게 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비장애아동이 적절히 reaction(반응)을 한다면, 장애아동은 적절한 사회기술을 습득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고 보다 적절하게 행동할 것이다. 이것은 단순히 소심함, 수줍음과 같은 성격의 문제가 아닌 비장애아동의 거부, 배타, 무시 등으로 나타나는 장애아동의 소외, 따돌림의 문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