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판측량(세부측량)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03 17:19
본문
Download : 평판측량.hwp
자침
- 교각은 30°~ 150°를 유지(90°가 이상적)
- 방향선 길이는 도상 10㎝ 이내
수평거리 관측
• 구심기의 고리에 추를 매달아 평판 위의 측점과 땅위의 측점을 동일 연직 선상에 있게 하는데 쓰인다.
평판측량 측량 평판 세부측량 / ()
• 자북 방향을 정하여 평판 위에 방위를 표시한다
- 도상에 5㎝마다 1점씩 배점
측침
레포트 > 기타
설명
- 시오삼각형 내접원 직경은 도상에서 5㎜ 이내
평판 측량에 사용되는 기구
- 평판을 한 번 세워 다수점을 관측할 수 있는 長點
평판측량 측량 평판 세부측량 / ()
Download : 평판측량.hwp( 89 )
평판측량 측량 평판 세부측량
• 엘리 데이드는 시준판, 눈금자, 기포관, 정준간으로 이루어져 있따 구심기와 추
- 폐합오차에 대한 조정이 필요함(허용오차 이내)
- 측량지역에 시준장애물이 있는 경우 채택
다.
평판측량의 개요
순서
- 보정오차 = (출발점에서 보정해야 할 점까지의 추가거리/측선거리의 총합)×폐합오차
방사법(method of radiation)
• 평판의 수평을 맞추어 目標(목표)물을 시준 하고 시준선을 도상에 표시하는 기구이다.
평판측량의 오차 및 정확도 • 평판을 삼각에 고정하고 평판과 目標(목표)물을 시준하는 기구인 엘리데이드 등을 사용하여 관측 대상물의 방향, 거리 및 고저차를 관측하여 현장에서 직접도면을 작성하는 방법.
- 방향선 수는 전방 및 측방에서 3방향 이상, 후방은 4방향 이상
평판측량방법
평판측량의 장단점
교회법에서의 주의사항
평판 세우기(평판의 정치)
평판측량(세부측량)
엘리데이드(수평기)
평판측량방법
높이(고저차) 관측
• 골조측량에 의해 구해진 기준점으로부터 측량구역내 지물의 위치나 지형을 구하는 세부측량에 사용.
전진법(method of traversing)
- 측량지역에 장애물이 적고 넓게 시준할 경우
• 가는 철침으로 도면 위의 측점에 꽂고 측점을 시준할 때 기준으로 삼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