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물화학] 요약정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11 14:46
본문
Download : [착물화학] 요약정리.hwp
② 전하 이동 흡수띠(CT흡수띠)
리간드
[착물화학] 요약정리 , [착물화학] 요약정리기타솔루션 , 착물화학 요약정리
![[착물화학]%20요약정리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B0%A9%EB%AC%BC%ED%99%94%ED%95%99%5D%20%EC%9A%94%EC%95%BD%EC%A0%95%EB%A6%AC_hwp_01.gif)
![[착물화학]%20요약정리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B0%A9%EB%AC%BC%ED%99%94%ED%95%99%5D%20%EC%9A%94%EC%95%BD%EC%A0%95%EB%A6%AC_hwp_02.gif)
![[착물화학]%20요약정리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B0%A9%EB%AC%BC%ED%99%94%ED%95%99%5D%20%EC%9A%94%EC%95%BD%EC%A0%95%EB%A6%AC_hwp_03.gif)
![[착물화학]%20요약정리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B0%A9%EB%AC%BC%ED%99%94%ED%95%99%5D%20%EC%9A%94%EC%95%BD%EC%A0%95%EB%A6%AC_hwp_04.gif)
![[착물화학]%20요약정리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B0%A9%EB%AC%BC%ED%99%94%ED%95%99%5D%20%EC%9A%94%EC%95%BD%EC%A0%95%EB%A6%AC_hwp_05.gif)
![[착물화학]%20요약정리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B0%A9%EB%AC%BC%ED%99%94%ED%95%99%5D%20%EC%9A%94%EC%95%BD%EC%A0%95%EB%A6%AC_hwp_06.gif)
순서
Download : [착물화학] 요약정리.hwp( 54 )
[착물화학] 요약정리
다.
-이온성염(SCN)의 배위된 착물은 리간에 의하 속성 흡수띠를 나타낸다. (기하 이성질체의 흡수 스펙트럼은 다름)
1)착물의 흡수 스펙트럼
-Lambert-Beer법칙
`흡광도` A = logI/I
`흡광계수` ε=(logI/I)/cd=A/cd
-선택규칙(selection rules)
이온이나 착물의 전자 스펙트럼은 에너지준위 간에 전자의 전기 쌍극자 전이에 의해 얻어진다.
-약한 스핀 금지 흡수띠
-강한 스핀 금지 흡수띠
리간드를 다른 리간드로 치환시키면 흡수띠 위치가 이동한다→ 분광화학계열(CT)
리간드 치환에 의해 착물의 대칭성이 낮아지면 흡수띠가 이동하며 분열이 일어나기도한다.
흡수띠의 분류
①리간드장 흡수띠(=d-d전이 흡수띠)
전자가 하나의 d궤도함수에서 다른 어느 d궤도함수로 전이될 때 나타나는 흡수띠이다.
-같은금속 착물에서 착이온의 구조가 비슷하면 흡수 스펙트럼의 형태가 비슷하다.
-같은 중심금속 착물에서 리간드가 달라도 배위원소가 같으면 유사한 흡수스펙트럼을 나타낸다.
이온의 물결의 움직임 함수)
→이온의 전자 스펙트럼의 강도(I)는 전기 쌍극자 모멘트(μ)의 제곱에 비례
-Laporte 선택규칙
2)흡수띠의 종류
전자 스펙트럼: 전이금속 착물의 흡수 스펙트럼은 금속과 리간드의 결합에서 전자 전이로 얻어진다.
-착물의 리간드가 다른 리간드로 바뀌면 흡수 스펙트럼이 달라진다.
선택규칙에 따르면 Laporte금지이지만,아래와 같이 분류한다.
-광학활성이성질체와 라세미체는 같은 흡수를 나타낸다.
[착물화학] 요약정리
착물화학,요약정리,기타,솔루션
설명
솔루션/기타
착물화학
5, 8, 9, 10장 요약정리(整理)
5장 착물의 구조 결정
1. 가시 및 자외선 스펙트럼
초기연구) 코발트를 비롯하여 니켈,크롬,구리 등 120종에 달하는 탁물의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測定) 하여 착물의 구조와의 관계조사
- 대체로 색깔을 띤 금속착물의 수용액은 가시(750~450nm) 및 자외선 영역(400~200nm)에서 2개 흡수 띠를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