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전라도 화순군 사투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07 15:00
본문
Download : 전라도 화순군 사투리.hwp
먼저 중세국어에서 `ᅀ, ᄫ`으로 표기되던 것들이 이 지방에서는 각각 `ᄉ`과 `ᄇ`으로 살아남은 것을 들 수 있따
⑴ 가실(가을), 모시(모이), 여시/야시(여우), 나숭개(냉이), 잇어라(이어라), 젓으니(저으니), 낫았다(나았다)
⑵ 새비(새우), 누베(누에), 호박(확), 추비(추위), 더버서(더워서), 달버요(달라요), 고바서(고와서)
등이 그 예다. 오늘날 남부방언으로 바꾸어 부를 수 있을 것...






다.
또 중세국어의 ``가 `ㅗ`로 변한…(省略)
,인문사회,레포트
전라도 화순군 사투리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호남방언의 속성
호남방언의 특성 전라도 방언을 河野六郞은 경상도방언과 묶어 남선방언(南鮮方言)이라 하였다.
Download : 전라도 화순군 사투리.hwp( 86 )
호남방언의 特性
전라도 방언을 河野六郞은 경상도방언과 묶어 남선방언(南鮮方言)이라 하였다. 가령 예문 ⑵에서 전라도방언에도 쓰이는 것은 `새비` 뿐이다. `ᄉ`유지형은 중부에서도 꽤 넓게 발견되나 `ᄇ`유지형은 경기도 중심의 중부나 그 이북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음들이다. 오늘날 남부방언으로 바꾸어 부를 수 있을 것... , 전라도 화순군 사투리인문사회레포트 ,
전라도 방언을 河野六郞은 경상도방언과 묶어 남선방언(南鮮方言)이라 하였다. 오늘날 남부방언으로 바꾸어 부를 수 있을 것이다. 그만큼 古形이 남부에 많이 유지되어 있는 것이다.) 봄으로써 이 방언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만큼 전라도 방언과 경상도 방언은 공통적인 면이 많이 있따 우선 그 중 대표적인 것들 몇 가지를 (이들 중 어떤 것은 어느 한 방언에만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