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Engineering 기초 實驗(실험) - 완충용액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1-23 14:31
본문
Download : 화학공학 기초 실험 - 완충용액.hwp
가역reaction 인 위의 reaction 식에서 화살표의 좌측의 물질이 감소하였으므로, reaction 은 좌측물질을 생성하는 방향으로 자발적으로 진행된다 이렇게 생성된 A⁻이온이 물과 reaction 하여 OH⁻이온과 약산인 HA를 형성하기 때문에 종말점에서의 pH가 7 이상이게 되는 것이다.
산, 염기 반응의 pH 적定義(정의) 원리를 이해하고 완충용액을 사용하는 목적을 이해하고 이를 위해 약산 EDTA를 KOH로 적정하여 pH變化를 구한다. reaction 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따라서 더 많은 HA가 이온화 되어 다시 평형에 도달하게 된다 새로이 형성된 H⁺이온은 더욱 OH⁻ 이온에 의해 원래의 모든 수소가 중화될 때까지 계속해서 중화시킨다.
Download : 화학공학 기초 실험 - 완충용액.hwp( 76 )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 요약
화학공학 기초 실험,완충용액
강산을 강염기로 적정할 때 pH는 적정되지 않는 산이나 과잉 염기의 농도만으로 구해질 수 있다아 이는 생성된 염기(Ex Cl⁻)가 pH에 어떠한 影響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약산을 강염기로 적정할 때는 몇 가지 고려할 점이 있다아
순서



화학Engineering 기초 實驗(실험) - 완충용액
산, 염기반응의 pH 적정원리를 이해하고, 완충용액을 사용하는 목적을 이해한다.
이때, A⁻이온의 가수분해로 인하여 적정이 종말점(혹은 당량점)에서 pH값은 7보다 높아지는 데, 이는 식(3)의 잔존 HA가 감소하면서 새로운 화학적 평형에 도달하기 때문이다. 보통 완충 물은 산과 염기의 두 가지의 혼합물질로 구성되어 있다아 산성완충용액은 약염기와 그 염을 포함하는데, 이 두 물질이 첨가되는 H⁺이온 또는 OH⁻이온을 흡수하기 때문에 완충구간에서 pH의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완충제는 이와 같은 원리에 의하여 pH 적정 시 급격한 변화를 방지해 주는 물질이다. - 요약 산, 염기 반응의 pH 적정의 원리를 이해하고 완충용액을 사용하는 목적을 이해하고 이를 위해 약산 EDTA를 KOH로 적정하여 pH변화를 구한다.
OH⁻이온이 첨가되면 H⁺ 이온을 중화시켜 다음과 같이 된다
⇌
설명
- 實驗(실험) 목적
어떤 약산이 수용액에서 이온화되어 소량의 H⁺이온을 생성할 때 다음과 같이 된다
H⁺이온의 제거는 약산과 그 이온들 사이의 평형을 방해한다.- 실험 목적 산, 염기반응의 pH 적정원리를 이해하고, 완충용액을 사용하는 목적을 이해한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