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인돌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0-20 11:40
본문
Download : 고인돌.hwp
남한에 3만여기, 북한에 1만여기가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있으며 일부 학자들은 그 수 를 7~8만기까지 늘려 잡기도 한다.
고인돌






순서
고인돌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고인돌완성[1]
고인돌 고인돌완성[1] , 고인돌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Ⅰ. 머리말
거석culture는 인간이 어떤 목적 의식을 가지고, 자연석 또는 가공한 돌로 구조물을 축조하여 숭배의 대상물이나 무덤으로 이용한 culture를 말한다. 고인돌, 돌널무덤, 독무덤, 돌무지무덤 등이 그것이다. 선사시대의 독무덤은 주로 옹관묘라 하는데 봉분이 있는 경우에는 옹관분이라 하고, 돌방이 있는 고분을 돌방무덤이라 부르기도 한다.
총은 커다란 봉분을 가지고 있는 최…(省略)
Download : 고인돌.hwp( 35 )
다.
지역적으로는 호남지방에 가장 많은 수의 고인돌이 분포되어 있는데, 다음과 같이 호남지방에 고인들에 형태는 어떠하며, 고인돌의 기원과 유형, 외국의 거석culture도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Ⅱ. 무덤과 거석culture
무덤은 묘, 분, 총, 능 등을 여러 명칭으로 불린다.
오래된 무덤을 총칭하기도 하는 고분은 거대한 봉토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마하지만, 대게 삼국시대 이후의 묘를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묘는 일반 서민층의 무덤을 칭하는데 선사시대의 무덤을 묘라고 한다.
그중에서도 대표되는 고인돌은 일반적으로 지상이나 지하의 무덤방 위에 거대한 덮개돌을 덮은 선사시대의 무덤으로 우리나라는 전 세계에 걸쳐 퍼져 있는 고인돌의 밀집분포지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