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정 및 부정정보의 각각의 반력과 처짐량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0 18:02본문
Download : 정정 및 부정정보의 각각의 반력과 처짐량.hwp
”라고 definition 될 수 있다
1.2 부정정구조물의 영향선
부정정구조물의 영향선의 작도는 정정구조물의 영향선의 경우처럼 쉽지는 않다.
부정정구조물의 여러 가지 기능에 대한 영향선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부정정력에 대한 영향선을 결정하여야 한다.
Ⅰ. 서 론
1. 실 험 목 적
Ⅱ. 본 론
1. 기 본 이 론
1.1 영향선의 의미
1.2 부정정구조물의 영향선
1.3 Maxwell의 상반 정리(整理) , Muller-Breslau의 원리
2. 실 험 기 구
3. 실 험 방 법
3.1 다이얼 게이지를 고정하고 하중을 이동하면서 처짐량 측정(測定)
3.2 하중을 고정하고 다이얼 게이지를 이동하면서 처짐량 측정(測定)
4. 실 험 결 과
4.1 데이터 시트(data sheet)
4.2 그래프(Graph) 및 영향선 작도
5. 결과의 고찰
Ⅲ. 결 론
영향선은 1867년 독일의 Winkler 교수가 처음 사용한 것인데, 단위하중이 구조물 위를 자나갈 때에 구조물의 특정한 기능에 주는 영향을 도표로 나타낸 것이다.. 현모양의 영향선도는 트러스에서처럼 단위하중을 격점에만 작용시킬 때 나타난다.
따라서 이번 시험에서 Betty의 원리, 중첩의 원리, Maxwell의 상반 정리(整理) , Muller-Breslau의 원리를 알아봄으로서 정정 및 부정정보의…(To be continued )
정정 및 부정정보의 각각의 반력과 처짐량
,기타,레포트






다. 그러나 부정정구조물의 영향선은 보다 많은 점에서의 종거를 계산하여야 한다.
본 시험은 이동하중에 대한 영향선을 그려봄으로서 정정보의 양단 지점에서 받게될 반력과 처짐, 부정정보의 각 절점에서의 반력 및 보의 처짐을 조사함을 본 시험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구조물의 어느 특정기능이라는 것은 반력, 전단력, 휨모멘트, 부재력, 그리고 처짐을 의미한다. 정정구조물의 영향선은 몇 개의 중요한 위치에 단위하중을 놓고 하중위치에서의 종거의 값을 결정하여 직선으로 이어가기만 하면 그만이었다.
영향선이란 “임의의 점에서의 종거가 그 점에 작용하는 단위하중에 의해서 생기는 어떤 특정한 기능의 값과 같게 되는 곡선이다. 일단 이것을 완성하고 나면 임의의 다른 반력, 부재력, 전단력 또는 모멘트 등에 대한 영향선은 정역학적으로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부정정구조물의 영향선을 작성할 때도 정정구조물의 영향선을 작도할 때와 같이 어느 특정기능(반력, 전단력, 처짐, 휨모멘트, 부재력 등)의 영향선의 종거는 모든 점에 단위하중을 차례(次例)로 놓고 이들 각 위치마다 특정기능의 값을 계산하면 그 하중 위치에서의 영향선의 종거가 된다 그러나 부정정구조물의 영향선을 작도할 때 이와 같이 단위하중을 순차적으로 위치시켜서 영향선을 작성하는 것은 특수한 몇가지 경우를 제외하고는 너무나 번거롭고도 비실용적인 방법이 아닐수 없다. 왜냐하면 부정정구조물의 영향선은 곡선이거나 일련의 현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그리 간단한 작도가 아닐것이다. 본 시험에서 얻게될 정정 및 부정정보의 각각의 반력과 처짐량을 이론치로 계산하여 얻은 값과 비교하여 봄으로서 반력과 처짐의 개념 및 이해를 돕고 그 차이의 발생원인을 살펴 봄으로서 역학적 원리를 좀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본 시험에서 얻게될 정정 및 부정정보의 각각의 반력과 처짐량을 이론치로 계산하여 얻은 값과 비교하여 봄으로서 반력과 처짐의 定義(정의) 및 이해를 돕고 그 차이의 발생原因을 살펴 봄으로서 역학적 원리를 좀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된다. , 정정 및 부정정보의 각각의 반력과 처짐량기타레포트 ,
Download : 정정 및 부정정보의 각각의 반력과 처짐량.hwp( 53 )
순서
설명
레포트/기타
본 시험은 이동하중에 대한 influence(영향)선을 그려봄으로서 정정보의 양단 지점에서 받게될 반력과 처짐, 부정정보의 각 절점에서의 반력 및 보의 처짐을 조사함을 본 시험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