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 이질화 극복을 위한 새로운 통일 교육 방법에의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1 12:26본문
Download : 남북한 이질화 극복을 위한 새로운 통일 교육 방법에의 연구.doc
그럼 자료(資料)를 받으시는 모든 분들께 언제나 행복이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순서
부족하지만 최선을 다해 작성하고자 노력하였으니 만족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남한은 서울말을 중심으로 한 표준어의 실제 발음을, 북한은 평양말을 중심으로 한 이른바 `文化(culture) 어`의 발음을 표준 발음으로 정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발음은 이러한 원칙과는 달리 공통점이 많다. 우리는 `심리(心理), 항로(航路)`와 같이 받침 `ㅁ, ㅇ`뒤의 `ㄹ`이나, `독립(獨立), 협력(協力)`과 같이 …(skip)
남북한이질화극복을위한새로운통일교육방법에의연구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남북한 이질화 극복을 위한 새로운 통일 교육 방법에의 연구.doc( 34 )
남북한 이질화 극복을 위한 새로운 통일 교육 방법에의 연구
부족하지만 최선을 다해 작성하고자 노력하였으니 만족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남북 언어의 표기법의 차이는 네 次例(차례)에 걸친 북한의 어문규정 定義(정의) 으로 심화됐다. 이러한 과정으로 말미암아 분단되어 있던 남북한의 언어는 날로 이질화를 심하게 겪게 되었다.
발음상 큰 차이는, 우리가 두음 법칙(頭音法則)을 인정하는 데 비해, 북한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이다.그럼 자료를 받으시는 모든 분들께 언제나 행복이 가득하시길 바랍니다^^남북한이질화극복을위한새로운통일교육방법에의연구 , 남북한 이질화 극복을 위한 새로운 통일 교육 방법에의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다.
Ⅱ. 이론(理論)적 배경- 이질화에의 연구
1)언어의 이질화
ⅰ. 언어 이질화의 과정
남북분단 이후에도 남북한의 표기법은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그대로 따랐다.
ⅱ남북 언어의 이질화 실태(實態)
*각종 언어 규정으로 인해 달라진 어휘수
1) 북한의 말다듬기 사업으로 달라진 어휘수: 6,572개
2) 한글 맞춤법 관련으로 달라진 어휘: 1,417개
3) 표준어 규정 관련으로 달라진 어휘: 2,672개
*기타 차이점
1) 띄어쓰기
2) 문장부호
3) 소리의 길이
4) 문법현상 및 문법용어의 차이
(가)말소리의 차이
음성 언어(音聲言語)에서는 발음이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다. 따라서 1948년 ‘조선어 신철자법’이 제정될 때까지 남북 간의 언어규범에는 차이가 없었다. 즉 1948년 1월 15일의 ‘조선말 규범집’, 1987년 5월 ‘조선말 규범집(수정판) 등 네 번에 걸친 변천을 겪는다. 그것은 통일 이후 남북간의 언어정책을 주도한 국어학자들 대부분이 한글학회의 회원들로 1933년에 조선어학회에서 제정한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계승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된다. 자음 동화(子音同化)도 차이를 보인다. 그래서 우리의 `낙원(樂園), 양심(良心)`, `여자(女子), 요소(尿素)`라는 말이 북한에서는 `락원, 량심`, `녀자, 뇨소`로 발음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