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서예의 기초적 이해와 기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9 05:16본문
Download : 한글서예의 기초적 이해와 기술.hwp
민체의 특징은 각기 개성이 뚜렷하며 자유분방하게 서사(書寫)함으로써 우리민족의 넋과 얼이 살아 있다는 것이며, 고구려의 광개토왕비와 울진 봉평비 등에서 느낄 수 있는 우리민족의 예술성이 살아 있다는 것이다. 이는 서예작품으로 쓴 것이 아니고 소설, 가사 , 서간 등 읽은후 기록하기 위한 목적으로 쓴 것이다.
그러나 민체는 민간에서 정립되지 않은 채 기록된 것이다. 다시 말하여 `체(體)`라 일컬을 만한 기준이 서 있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의견도 있다아 우리나라 고유의 민화가 우리서민의 감정과 생활상을 깊숙히 반영하고 있다고는 하나, 이를 하나의 통일된 기준으로 정립된 화풍으로 볼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한322 , 한글서예의 기초적 이해와 기술감상서평레포트 ,
,감상서평,레포트
순서
설명





한글서예의 기초적 이해와 기술
레포트/감상서평
한322
궁체는 너무 곡선미가 짙고 여성적이며 지나친 기교로서 미서에 이어지는 흠이 있다아 또한 서법이라는 준비된 질서 속 에 구속되어 일률적이고 개성이 없으며 그 조형성과 예술성의 격조가 낮은 느낌이 있다아
민체는 궁체와 더불어 필사본으로 되어있는 한글류의 책들에서 나타난 서체이다.
한편, 조선 중. 말기에는 서사상궁의 글씨 쓰기 교육용으로 연습교본이 있었으나 한글 글씨쓰기를 정식으로 교본화 한 것은 1910년에 한서 남궁억이 쓴 신언문체법이 최초인 것으로 알려진다. 다만 궁중 이외의 백성들에 의해서 필사되었다는 것과 조선 중기에서 말기에 간행된 것이라는 정도밖에 추측할 수 없다.
1958봄에 갈물 이철경은 갈물 한글 서예 단체를 발족하고 가을에 제1회 갈물한글서예회 회원전을 열었는데 이는 행사 이전에 많은 후학들에게 한글 궁체쓰기를 지도한 결실이라고 할 수 있다아
1959년에 동방연서회(이사장…(drop)
Download : 한글서예의 기초적 이해와 기술.hwp( 26 )
다. 글씨로 쓴 민체는 필사자, 필사연대를 간혹 밝힌 것도 있으나 대부분 명시되어 있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민체의 형식은 자유롭고 구속됨이 없이 작자의 시간별로 달라지는 슬픔과 기쁨 넉넉함과 배고픔의 뜻을 표현하고 있으며 그때 그 자리에서 그 자신의 표현인 즉 통일성, 강조, 균형, 비례, 선, 형태, 재질감, 공간의 환영리 등의 조형성이 잘 나타난 것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