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 통합논의와 역싸중심 공통사회 구성방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7 19:34
본문
Download : 사회과 통합논의와 역사중심 공통사회 구성방안.hwp
그러므로 학교 수준에서 역... , 사회과 통합논의와 역사중심 공통사회 구성방안사범교육레포트 ,
설명
,사범교육,레포트
① 학문으로서의 역싸는 인간 경험의 전영역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학교 수준에서 역...
순서
4. history의 학문적 속성 과 history 중심의 ‘공통사회’ 구성plan
① 학문으로서의 history는 인간 경험의 전영역을 포함한다.
→ 학제적 접근, history교과 중심 중핵 교육과정
※ 교과중심의 중핵 교육과정 : 중핵 요소를 교과의 범주에서 찾되 교과간의 통합에 가능하도록 교육과정을 구성
③ history중심 ‘공통사회’ 구성의 예 : pp.473-479
5. 현재 사회과 통합 논의에서의 결점
① 통합의 유형에 관한 문제 : 융합형을 이상적인 방향으로 설정하고 있지만, 사회과를 영역으로 보느냐 과목으로 보느냐가 통합의 유형과 관련하여 명백하게 정리(arrangement)되지 않고 있다아
② ‘분과체제’의…(To be continued )
사회과 통합논의와 역싸중심 공통사회 구성방법


Download : 사회과 통합논의와 역사중심 공통사회 구성방안.hwp( 40 )
레포트/사범교육
다.
4. 역싸의 학문적 特性(특성)과 역싸 중심의 ‘공통사회’ 구성방법
4. 역사의 학문적 특성과 역사 중심의 ‘공통사회’ 구성방안① 학문으로서의 역사는 인간 경험의 전영역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학교 수준에서 history가 사회과의 다른 분야를 연관시키고 종합하는 응집력을 가지고 있다아 이것은 현실 사회문제를 통합적으로 다루는 사회과(즉, 현재 진행되고 있는 방향)와는 다른 차원의 통합성이라고 할 수 있다아
② history중심 ‘공통사회’ 구성은 세계사를 중심으로 하여 다른 사회과의 내용, 개념(槪念), 방법 등을 끌어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