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야심경(般若心經)에 나타난 인간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11-06 18:16본문
Download : 반야심경(般若心經)에 나타난 인간론.hwp
둘째, 중생을 버리고 부처가 되는 것이 아니라. 중생 그 자체가 부처라는 뜻이다. 관세음보살은 대승 불교의 이상적인 인격 가운데 `자비의 화신`이다.반야심경(般若心經)에 나타난 인간론
Download : 반야심경(般若心經)에 나타난 인간론.hwp( 33 )
레포트/경영경제
반야심경의 주인공은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이다. 중생들의 고통을 없애 주기 ... , 반야심경(般若心經)에 나타난 인간론경영경제레포트 ,
반야심경의 주인공은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이다. 어째서 중생과 부처가 하나인가. 첫째, 중생이 없으면 부처가 없기 때문이다 부처는 중생을 위해서 이 세상에 출현한다 따라서 부처가 없다면 중생이 없지만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중생들의 고통을 없애 주기 ...
순서
다. 중생들의 고통을 없애 주기 위하여 33가지의 몸을 나타내며, 어떠한 곤경에서도 자비를 베푼다는 구원(久遠)의 보살상이다. 흔히 해탈이라고 하면 헛된 색신(色身)을 버리고 부처라는 인격으로서 새롭게 태어난다는 생각을 갖지만, 그것은 오류이다. 그러므로 이 구절은 중생과 부처는 둘이 아니라는 선언이다. 따라서 반야심경의 核心은 색불이공(色不異空), 공즉시색(空卽是色)으로 요약된다 색은 물질이며, 중생을 상징한다. 반면 공은 사물의 본성이며, 부처를 상징한다. 이 관세음보살은 오온(五蘊)을 모두 공(空)이라고 판단한다. 헛된 색신이 곧 바로 부처임…(drop)
설명
%EC%97%90%20%EB%82%98%ED%83%80%EB%82%9C%20%EC%9D%B8%EA%B0%84%EB%A1%A0_hwp_01.gif)
%EC%97%90%20%EB%82%98%ED%83%80%EB%82%9C%20%EC%9D%B8%EA%B0%84%EB%A1%A0_hwp_02.gif)
%EC%97%90%20%EB%82%98%ED%83%80%EB%82%9C%20%EC%9D%B8%EA%B0%84%EB%A1%A0_hwp_03.gif)
%EC%97%90%20%EB%82%98%ED%83%80%EB%82%9C%20%EC%9D%B8%EA%B0%84%EB%A1%A0_hwp_04.gif)
%EC%97%90%20%EB%82%98%ED%83%80%EB%82%9C%20%EC%9D%B8%EA%B0%84%EB%A1%A0_hwp_05.gif)
%EC%97%90%20%EB%82%98%ED%83%80%EB%82%9C%20%EC%9D%B8%EA%B0%84%EB%A1%A0_hwp_06.gif)
,경영경제,레포트
반야심경의 주인공은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이다. 관세음보살은 대승 불교의 이상적인 인격 가운데 `자비의 화신`이다. 관세음보살은 대승 불교의 이상적인 인격 가운데 `자비의 화신`이다. 오온은 인격을 구성하는 5가지 요소로 색(色 : 물질적 요소), 수(受 : 느낌의 작용) 상(想 : 상상력), 행(行 : 행위. 잠재력), 식(識 : 마음씨)인데, 이것이 모두 공임을 알 때 괴로움을 소멸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