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 연구와 test(실험) 설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4 21:46본문
Download : 조사 연구와 실험 설계.hwp
그리고 설명(explanation)적 조사는 인과관계를 추론할 수 있도록 명백하게 진술된 변수들간의 관계를 취급한다.
● 일반 제가설을 지지 또는 배격하기 위한 기초 자료(資料)나 증거를 얻기 위하여 case study가 사용된다…(skip)






Download : 조사 연구와 실험 설계.hwp( 21 )
설명
순서
조사 연구와 test(실험) 설계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說明)하고 있는 글입니다.조사연구와실험설계 , 조사 연구와 실험 설계공학기술레포트 ,
조사연구(Research Method)
1. 조사연구의 관념과 분류
1) 기술적 조사연구
2) 설명(explanation)적 조사연구
2. 事例(사례)조사연구(Case Study)
1) 事例(사례)조사연구의 의의
2) 事例(사례)조사가 이용되는 목적과 적용되는 경우
(1) 이용되는 목적
(2) 적용되는 경우
3) 事例(사례)조사의 분류 및 방법
(1) 개인에 대한 事例(사례)연구
(2) 집단에 관한 事例(사례)조사법
4) 事例(사례)조사의 절차
(1) 다원적 요인(multiple factor)의 발견을 목적으로 하는 事例(사례)조사
(2) 일반화를 목적으로 하는 事例(사례)연구
5) 事例(사례)조사연구의 장·단점
(1) 事例(사례)조사연구의 長點
(2) 事例(사례)조사연구의 단점
3. 實態조사연구(Survey Research)
1) 實態조사연구의 의의
2) 實態조사의 종류
(1) 기술적 實態조사(Descriptive Survey Research)
(2) 설명(explanation)적 實態조사(Explanatory Survey Research)
4. 질문지법(Questionnaire)
1) 질문지의 종류
2) 질문지의 장·단점
(1) 長點
(2) 단점
3) 질문지의 순서
4) 질문지 작성의 절차
5) 질문의 성격
6) 질문지의 두 가지 형식
(1) 개방식 질문(Open ended question)
(2) 폐쇄형 질문(Closed question)
7) 질문지의 몇 가지 양식
(1) 찬반식 질문(Dichotomous Question)
(2) 다항선택식 질문(Multiple Choice)
(3) 서열식 질문(Ranking Question)
(4) Check List
(5) 평정식 질문(Rating Question)
8) 질문지의 각종 적용방법과 그 장·단점
(1) 면접조사법(Interview Method)
(2) 배표조사법
(3) 집단조사법(Group Survey)
(4) 우편조사법(Mailed Questionnaire)
(5) 전화조사법
9) 질문지 작성시의 유의점
5. 현지조사
1) 의의
(1) 의의
(2) 현지조사와 표본조사와의 구별
(3) 현지조사와 현지實驗과의 구별
2) 현지조사의 형태
(1) 사회학적 조사
(2) 인류학적 조사
(3) 사회·심리학적 조사
3) 현지조사의 실시 순서
(1) 예비계획(Preliminary Planning)
(2) 예비탐사(Scouting Expedition)
4) 현지조사의 설계(Formulating Research Design)
(1) 기술적 현지조사
(2) 가설검증 조사
(3) 조사도구 및 절차의 사전검사(Pretesting of Research Instrum-
ents and Procedures)
(4) 현지작업의 실시(Full-scale Field Opretion)
(5) 자료(資料)의 정리(整理) 와 analysis(분석) (Analysis of materials)
5) 현지조사의 장·단점
(1) 長點
(2) 단점
6. 實驗조사연구
1) 實驗조사연구의 의의
2) 實驗조사연구의 특징
3) 實驗조사연구의 목적과 통제
(1) 목적
(2) 통제
4) 實驗조사연구의 수행단계
(1) 변수의 선정과 검사단계
(2) 변수검증의 수준 결정단계
(3) 표본의 추출단계
(4) 표본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5) 實驗의 세부 계획단계
(6) 實驗 대상의 분배단계
(7) 實驗설계단계
(8) 예비검사
(9) 자료(資料)의 정리(整理) ·analysis(분석) 및 해석단계
5) 實驗조사연구의 설계
6) 實驗조사연구의 장·단점
(1) 長點
(2) 단점
7) 實驗조사연구의 종류
(1) 實驗실 實驗(Laboratory Experiment)
(2) 實驗실 實驗과 현지實驗과의 구별
(3) 實驗실 實驗상의 문제
(4) 實驗실 實驗의 장·단점
7. 현지實驗(Field Experiment)
1) 현지實驗의 의의
2) 현지實驗의 실시
(1) 협동적 관계의 수립
(2) 공동진단
(3) 공동기획
(4) 實驗 또는 측정(measurement)
(5) 인과관계
3) 현지實驗의 장·단점
(1) 長點
(2) 단점
4) 현지實驗의 장애요인과 해결 방법
(1) 비처리 통제집단에 대한 實驗처리 유보
(2) 난선화의 절차와 관련된 문제
(3) 난선화 단위의 수와 선택에 관련된 문제
(4) 계획된 實驗에 피검자가 참여를 거절하는 경우
(5) 實驗 대상자에 이탈(bolter)이 생기는 문제
(6) 實驗처리 시행시 이질성 문제
(7) 통제집단에게 實驗 기간이 길어지면 새로운 사건이나 alteration(변화) 가 일어날 수 있는 경우
實驗설계(Experimental Design)
1. 實驗설계의 의의와 목적
2. 實驗집단과 통제집단
1) 實驗집단(Experimental Group)
2) 통제집단(Control Group)
3. 實驗집단과 통제집단의 선정을 위한 사전준비
1) 문헌조사
2) 전문가 및 경험자 조사
3) 조작적 방법
4) 가설과 기존 理論(이론)
5) 변수
4. 實驗집단과 통제집단의 동등화 방법
1) 난선화(Randomization) 방법
2) 배합(Matching)에 의하는 방법
(1) 정밀통제(Precision Control of Individual Matching)
(2) 빈도분포통제(Frequency Distribution Control)
5. 변수의 통제
1) 개요
2) 변수의 통제를 결정하는 요인
3) 통제를 위한 고려사항
6. 實驗적 조사연구설계의 여러 유형
1) 주요 기호
2) 實驗조사연구 설계의 단순 모형
(1) 단일事例(사례)연구
(2) 단일집단 전후비교
(3) 정태적 집단비교(Static Group Comparison Design)
7. 이상적인 實驗설계
1) 통제집단 전후비교(The before-after Control Group Design)
2) 통제집단 후비교(After Control Group Design)
3) 솔로몬의 4집단 설계(Solomon four Group Design)
8. 實驗설계의 타당도 문제
1) 내·외적 타당도(Internal & External Validity)와 그 저해요인
(1) 내·외적 타당도
(2) 내적 타당도를 저해하는 요소
(3) 외적 타당도를 저해하는 요소
2) 내·외적 타당도 편향의 극복
9. 實驗의 윤리적 문제
1) 연구결과의 사용과 희생자에 대한 비난의 문제
2) 속이는 實驗(연구)의 문제
3) 다이브리핑(Debriefing)의 문제
4) 프라이버시(Privacy)의 문제
5) 위험 / 이득analysis(분석) 의 문제
6) 윤리적인 문제의 극복
(1) 사전동의(Informed consensus)
(2) 비밀보장(Confidentiality)
(3) 피검자의 권리와 복지(Subject rights & welfare)
(4) 연구 대상자에게 돌아가는 혜택과 위험부담의 비
7) 피검자의 개인 동의서(Informed consensus)
Chapter Ⅰ
◀ 조사연구(Research Method) ▶
1. 조사연구의 관념과 분류
1) 기술적 조사연구
기술적 조사(describe inquiry)는 어떤 현상에 대한 탐구(exploration)나 명백화(clarification)가 결여되어 있을 때 많이 사용되는 연구방법으로, 때로는 탐구적 조사(exploratory)라고도 한다.
事例(사례)조사연구의 특징으로서는 명제(proposition)나 가설(hypothesis)이 검증이 아닌 연구 대상에 대한 기술(description)이 그 목적이라고 볼 수 있따 따라서 하나의 事例(사례)연구는 그 자체로서 끝날 뿐 일반화(generalization)를 시도할 수 없는 것이 그 약점으로 지적되고 있따
2) 事例(사례)조사가 이용되는 목적과 적용되는 경우
(1) 이용되는 목적
● 관계 제 변수를 알지 못할 때에는 일반가설을 인출하기 위하여 pilot study로서 필요할 때 case study가 사용된다된다.
조사 연구와 test(실험) 설계
,공학기술,레포트
레포트/공학기술
조사 연구와 실험 설계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는 글입니다. 기술적 조사 연구에 속하는 것으로서는 事例(사례)조사, 實態조사, 내용analysis(분석) 연구, 시뮬레이션 연구 등을 들 수 있따
2) 설명(explanation)적 조사연구
설명(explanation)적 조사는 일반화(generalization)를 추구하는 것을 주요 目標(목표)로 한다.
조사연구와test(실험) 설계
다.
설명(explanation)적 조사 분류에 속하는 조사설계로서는 實驗조사, 實態조사, 시뮬레이션 등이 있따
2. 事例(사례)조사연구(Case Study)
1) 事例(사례)조사연구의 의의
事例(사례)조사연구는 하나의 개별적(individual) 또는 집단적인(collective) 현상을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것이며, 비교 또는 통제집단(comparison or control group)이 없고 모집단이 직접적인 연구의 대상이 되는 연구이다. 이 조사는 사회 현상에 대한 설명(explanation)을 시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