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술교육의 project와 방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3 01:32
본문
Download : 한국미술교육의 과제와 방향.hwp
- 개별화 수업, 표현주제나 방법, 재료의 선택에서의 개방(학생의 주체적인 참여유도)
3) 미술 감상비평교육의 내실화
교육현장에서는 미술수업이 표현 위주로 진행되고 감상교육을 소홀히 다루고 있다아
감상교육소홀의 요인
①미술 감상의 중요성 인식 부족
②지도교사의 감상지도 미숙
③감상지도의 참고data(資料) 부족
④지나친 지식위주의 감상
4) 미술과 평가의 improvement
미술표현의 과정이나 결과를 평가하는 것은 매우 복잡하고 어렵다. 조형능력은 방법과 재료, 용구 등 하나하나 짚어나가는 체계적인 지도와의 병행을 통하여 육성된다
2) 획일화된 미술교수 방법
창의성에대한 오해-교사가 간섭하지 않으면 창의성이 계발될 것이다 교사의 소극적인 자세 유발
미술교육은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주로 결과위주의 평가를 하고있다아
미술학습평가에 대한 문제가되는점
①평가기준을 설정하기 어렵다
②미술작품에 대한 평가는 교육적인 역결과 를 가져올 수 있다아
③수행평가를 하기에 학급당 인원이 많다
④교사들의 전문성부족
⑤표현기능 위주의 평가
최근에는 교육본질에 부합되는 바람직한 방향으로 가고 있다아
5) 미술교사 교육의 혁신
실기 중심의 교원양성- 그 실기 교육조차 심도있게 이루지지 않음
미술교사는 자신의 미적 안목과 미술의 이해와 표현과 감상을 체계적 이고 통합적으로 지도할 수 …(생략(省略))
레포트/예체능
한국미술교육의 project와 방향
한국미술교육의 project와 방향
설명
한국미술교육의 과제와 방향 , 한국미술교육의 과제와 방향예체능레포트 , 한국미술교육의 과제와 방향
다.



순서
Download : 한국미술교육의 과제와 방향.hwp( 21 )
한국미술교육의,과제와,방향,예체능,레포트
한국미술교육의 과제課題와 방향
1. 한국미술교육의 과제課題
1) 미술교과에 대한 편견의 해소
대부분이 미술교과를 기능교과로 인식
현재의 기능중심 미술교육에서 잘못된 점으로 지적되는 점
①기능적인면에 대한 협소한 인식
②특정한 방법이나 定義(정이) 을 주입
③기능을 사실적으로 재현하는 능력과 동일하다는 인식
④표현기능의 향상을 많은 표현 경험에 기대
미술기능, 즉 조형능력을 주제표현을 위한 모든 방법적인 능력의 넓은 定義(정이) 으로 받아들이고 다양한 재료에 의한 다양한 기법의 제시와 지도를 통해 자신의 표현방법을 발견하여 표현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